학술논문
조직 간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 결정요인 탐색 및 HR 역할 관련 향후 연구 과제 모색
이용수 1,710
- 영문명
- The Search for Indicators of the Differentiation of HR Departments’ Strategic Role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HR Role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박지성(Jisung Park) 류성민(Seongmin Ryu)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5권 제4호, 15~4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난 수십 년간 인사관리 분야에서는 조직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역할 수행이 HR 부서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궁극적 종착점이라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 참여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고 미래 경쟁우위를 증진시키는 최적의 방안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HR 부서가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느냐를 살펴본 연구들에 따르면 여전히 많은 기업들의 HR 부서가 운영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으며, 현실에서의 전략적 역할 수행 정도는 기업들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HR 부서의 전략적 이행에 있어서의 조직 간 현상학적 차이는 HR 부서의 확고한 지향점이었던,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다다라야 할 목표지점인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이 왜 기업마다 그토록 다양한 차이를 보이느냐에 대한 근원적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의문을 기반으로 출발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먼저 HR 부서의 역할 유형들(관리전문가, 직원대변자, 변화 관리자, 전략적 파트너)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HR 부서의 역할 유형들 중전략적 역할 정도를 높이는 조직의 내․외부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이러한 선행연구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통합적 연구 틀을 제시한 후,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HR 부서 역할 관련 기존 연구들에 있어 추가 논의가 필요한 부분들을 이론적․방법론적․연구 함의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향후 연구 과제로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본 논문이 가진 함의점과 한계점 들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본 논문은 조직 간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 수행 정도에 있어 차이를 가져오는 영향요인들을 규명하고 기업들의 상황을 보다 현실 적으로 보여줌으로써 HR 기능과 역할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제고하는 한편, HR 부서 역할 관련 향후 논의들을 보다 활성화시키고 관련 담론의 외연을 확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ontrary to HR scholars’ beliefs about the overwhelming diffusion of a human resource (HR) management department’s strategic role in the management field, most firms’ HR departments still spend much time in playing the operational roles. In addition, the degrees of a strategic role among firms markedly are diverse, contingent on each organization’s conditions in practice. This gap between reality and the ideals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 which factors lead to the differences of an HR department’s strategic role among firms?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paper traces the evolution of HR roles, summarizes various HR roles that have been suggested by researchers so far, and particularly reviews four HR roles-strategic partner, change agent, administrative expert, and employee champion-which are typically used in the HR field. In addition, by further focusing on a strategic role,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e the differentiation of an HR department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s and theoretical argument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erms of theories, methodologies, and research implications. In the discussion part,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to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향후 연구 과제
Ⅳ. 결론 및 토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위원장 서언: 심사자가 된다는 것
- 특별세션 서언: 인적자원관리/고용관계 분야의 연구주제 확장을 기대하며
- 조직 간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 결정요인 탐색 및 HR 역할 관련 향후 연구 과제 모색
- 조직을 위한 비윤리적 행위의 수용: 행위자의 능력 판단과 윤리적 판단의 매개효과
- 개별적 근무조건이 이직의도와 조직지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개인 과업성과 인식의 조절효과
- 제도적 압력에 대한 기업의 반응과 지배구조의 조절효과: 장애인의무고용제도를 중심으로
- 노사협의회에 대한 최근 연구성과 및 향후 연구과제: 노동조합의 대체재와 보완재 논의를 중심으로
- 인력의 고령화와 인적자원관리 연구: 국외연구의 동향과 국내연구의 향후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