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김성준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7 추계학술대회논문집, 94~96쪽, 전체 3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02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7년 5월 필자는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고려 동경에 새겨진 배가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고려의 배가 아닐 가능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고려 동경의 원 도안은 북송대에 유래하여 금대에 크게 유행한 뒤 무역을 통해 고려에 유입되어 크게 유행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고려 동경은 중국에서 유래한 원도안을 모방하여 재주조, 변형, 재창조한 것이므로 뒷면에 새겨진 배는 고려의 배라기 보다는 중국의 배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된 삼족오문 고려 동경(덕수 4927; 덕3194)에 새겨진 배는 평면형 저판 및 선수미, 중첩된 삼판, 최상부 삼판에 보이는 가룡목의 흔적 등 여러 면에서 원양항해용 평저선형 고려선박으로 볼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기원지인 중국에 비해 고려에서 널리 모방, 변형, 재창조되어 활발하게 주조 및 유통되었다는 점이다. 유리판(于力凡)의 견해를 받아들인다면,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은 북송의 徽宗(재위 1100-1125) 황제의 聖德을 讚揚할 목적으로 주조되었다. 그러나 이배근의 견해를 원용하면, 고려에서는 항해도문안을 태조 왕건의 조부인 作帝建의 설화로 해석하여 태조 왕건을 龍孫으로 지체를 높이기 위한 상징물로 활용했을 개연성이 있다. 이것이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북송과 금을 통해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에서 이를 모방 및 변형하고 독창적으로 재창조하여 널리 유통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이 되었을 수 있다. 이는 차후의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할 과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중 배무늬 청동 거울 비교
Ⅲ. 삼족오문 고려 동경의 배
Ⅳ. 배무늬 청동거울 유행의 배경
Ⅴ. 맺는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전환 시대의 선박통신 변화
- HNS 사고 대비/대응 전용 방제자원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 선박 비상상황 시,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주변 현황 정보 수집 기술
- 항로표지 전산관리시스템 기능개선 및 활용
- 수로측량정보의 e-Navigation 서비스 다목적 활용방안
- 안전항해를 위한 e-Navigation 웹 서비스 개발
- 해수욕장의 가치와 만족간의 영향
- 부표정비선 추진장치 및 크레인 형식에 관한 고찰
- 무신호기(전기혼) 시스템에 설계에 대한 고찰
- Estimation of Users’ Waiting Cost at Container Terminals in Northern Vietnam
- 가상훈련을 위한 선박 내 구조 구축 프레임워크
- DGLONASS 시범서비스 분석
- 선박 초기 화재 대응을 위한 소화기 가상 훈련
- ECDIS Design 개선을 위한 HCD가이드라인 적용절차 개발
- A Study on Load Vibration Control in Crane Operating
- 항만공기업 NCS기반 채용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선박화재 시 비상대응절차에 관한 사례연구
- 신속성과 정확성을 고려한 항로 추론 방법 연구
- 해양분야에서 생태적 인터페이스 설계(Ecological Interface Design) 방안
- 해사영어 전문용어에 관한 연구
- 해사 메시징 서비스 통신을 이용한 SMART-Navigation 서비스 관리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연안여객선 항차별 안전관리 프로세스
- 선수 부가물 길이에 따른 Axe Bow선형의 규칙파 중 Spray억제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자동침몰선박 위치표시 등명기 개발 연구
- 내항성 안전지수별 위기대응가이던스 개발에 관한 연구
- 연안 여객선용 CBT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안전 여객 대피 요소 검토
- 지상파 전파항법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eLoran Emulator 개발
- 우리나라와 일본 서해안의 풍속 분포 특성 분석
- S-201을 적용한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의 표준 설계
- Developing Chatbot for Training Seafarers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y Using Real VTS Data
- Recurrent Neural Networks를 활용한 Baltic Dry Index (BDI) 예측
-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해기사 SRK 행동 측정 방법 고찰
- 해사클라우드 환경에서 해사ID의 효율적인 등록을 위한 선박ID 연동 시스템의 구조 설계
- 중소규모 보관창고의 자동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 항해사 인지 지각 검사도구 개발
- 독립전원 해상교통 안전 지시 신호 및 식별 표시판 관련 연구
- LED광학 시스템이 포함된 3등대형 수은조식 해상용 등명기 개량
- 비대칭 고속 쌍동선의 선미터널 출구영역의 경사각 변화에 따른 저항성능 및 항주자세 분석
- 익수자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최소부력 지원에 관한 고찰
- 일본 연안역에 입지한 해양건축물의 변천과정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고속활주선의 운동성능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적 추가 연구
- 환경 외란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선박 항로 최적화 기법 연구
- S-201 기반 항로표지 정보 서비스 개발 방안
- 항만 배후지역의 공간적 포용성 증진을 위한 도시설계적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 한국형이네비게이션의 최적안전항로서비스를 위한 충돌위험도평가모델 연구
- 차세대 수로정보 테스트 시스템 개발
- 여객선의 복원성 평가항목의 지수화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and Assessing Situation of Hai Phong Logistics
-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 기술개발에 관한 고찰
- 선박 안전을 위한 선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동해권역 Loran-C 신호품질 분석
- A Study on Optimization of Fourth-Order Fading Memory Filter under the Highly Dynamic Motion of Both Own Ship and Target
- 실시간 가중치를 갖는 타원형 범퍼의 겹치는 면적을 계산하기 위한 연구
-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을 통한 효율적 운영방안
-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사용자 UI 개발
- 표준형 부표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피지 항로표지시설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인터모달 화물운송시스템의 대차주행제어기술에 대한 고찰
- 명량수도 조류관측시스템 설계 및 구축에 관한 고찰
- 다목적 수심체계 구축 사례 및 활용연구
- NT레이다에서의 취약점을 개선한 Enhanced Racon 개발 연구
- 능동형 피난유도기기와 실시간 피난경로생성 기술을 적용한 여객선 스마트 인명대피 시스템
- 부도조류센서 전용등부표 설치에 따른 조류정보 비교분석
- 선박 접이안용 계선주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플라스틱 부표의 해상 환경에 따른 특성 연구
- 점성감쇠 안티롤링진자를 이용한 선박의 롤링 저감에 대한 연구
- Technical Notes on Radio Navigation Services, Including MSI
- Experimental Study on Force and Yaw Moment Acting on Ship in Regular Wave with Various Wave Direction
- 혼승 선박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대화 연구
- 항만하역종사자의 안전분위기와 태도가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 eLoran 및 GPS의 NMEA 신호를 이용한 자동 스위칭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ition of Women in shipping In Hai Phong of VietNam
- 무인선 회수를 위한 히빙라인 발사장치의 해상시험 연구 (1)
- 항로표지용 고효율 충방조절기 효율 개선 연구
- 항만확장에 따른 통항안전 및 항만정온도 검토
- 점멸식 해상용 등명기 기술개발 동향 및 개발 사례
- 수치해석을 통한 고속활주선의 횡방향 Step적용 위치에 관한 연구
- 한국형 e-Navigation 운영 시스템의 데이터 메시지 큐잉을 위한 AMQP 분석
- e-Navigation 서비스를 위한 선박 INS platform에 관한 연구
- 해사 MRV 규제 분석을 통한 대응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eLoran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 현황
- KASS 기준국 후보지 환경 분석
- 무인등대용 다기능 표준전력제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항해안전 감시시스템을 위한 선박안전성능 평가방안 연구
-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연안선의 Workload 분석 및 측정 방안
- 해양오염사고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항만 방사선감시기의 검색환경 분석 연구
- Development of Standard e-Navigation Phrases
- 승객탈출분석 개정 동향 및 인명대피실험 기반 적용 시 고려사항
- 부산항 항로표지 영상감시시스템 구축 사례
- AHP 분석을 통한 선박 및 승객 대피 의사결정 주요항목 연구
- 위험물(HNS) 적재선 자율 운항을 위한 리스크 기반 침로 설정에 관한 연구
-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Engineering Communication Phrases
- 황비창천명 三足烏紋고려 동경에 새겨진 배의 국적
- 로터추진기를 장착한 12인승 풀 캐빈 에어보트 개발
-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의 배포방안 및 응용방안
- SRK 행동 모형을 이용한 인적오류 모델 설계 방안
- 수평배광 유지가 가능한 등부표용 소형 LED 등명기
- Language Barriers and Communication Problems under Multicultural Environment and Marine Accident
- IALA World-Wide Academy and Capacity Building
- 새로운 기능의 등명기와 이를 적용한 신소재 부표
- dLoran 성능 커버리지 예측 시뮬레이션
- 해운항만기업의 빅데이터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북극항로 현황 및 우리나라 활용 방안
- 스마트 항로표지에서의 AIS-ASM 기반 환경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방안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