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research trend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 저자명
- 이일주(Yil Ju Lee) 우서경(Woo Seo Kyeong)
- 간행물 정보
-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제4권 제2호, 21~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들에게 자연과 내가 하나라는 생각을 일깨워주고 자연에 대한 지식보다는 자연을 올바르게 보고 받이들일 수 있는 감성과 자연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오감으로 체험하면서 생각과 사고의 변화를 꾀하며 이를 통해 배운 것을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해 내고 자연생태와 더불어 호흡하며 생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생명의 존엄성을 배우고 긍정적인 인성과 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 중 2008년 3월부터 연구된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생태유아교육 연도별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교육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ach the children the idea of nature and I as one, to experience the emotions that can see and accept nature correctly than the knowledge of nature, I would like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o practice in real life, to breathe with natural ecology, to learn the dignity of life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life, and to improve positive personality and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eco -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master s and doctoral theses that have been studied since March 2008 among eco - We want to establish an academic foundation through analysi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