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폭력관련 상담소 및 시설 종사자의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및 관련요인 연구
이용수 379
- 영문명
- A study on work-related stress and relevant factors in working with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assault victim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박지영(Park Ji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18권, 141~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7.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 및 성폭력의 피해를 입은 여성들을 위한 원조제공을 주요업무로 하는 부산․경남 지역 여성폭력 관련 상담소 및 시설 종사자의 업무관련 스트레스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주요 변인들을 개인적 차원과 업무환경 차원에서 확인하기 위해 부산․경남지역 내 여성폭력관련 상담소 및 시설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STSS) 평균은 38.697로 전체 조사대상자 중 절반 이상(54.2%)이 임상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범주에 포함되었으며 특히 ‘회피’현상이 두드러졌다. 소진(MBI)에서는 낮은 성취감으로 인한 경우가 두드러졌다. 둘째, 응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이차적 외상스트레스(회피, 증가된 각성)와 소진(정서탈진, 성취감)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근무시간, 업무과중인식, 신변안전우려, 조직내 지지 등의 업무환경특성 변인들이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소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상의 함의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purposes on examining the level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of service providers who work for the victimized women and correlated factors.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mean score of STSS is 38.697 which means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are in need of clinical attention. On the other hand, respondents level of MBI(burnout) is not serious as much as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 Secondly, younger and unmarried respondents tend to have higher level of STSS and MBⅠ. Thirdly, among occupational variables, working hours, trauma workload, frequency of out-of office counselling, security concerns, and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security concerns are correlated to STSS and/or MBⅠ.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re drawn to suggest strategies in preventing and mitigating work-related stress in social work occupational settings.
목차
국문요약
Ⅰ. 연구목적 및 연구배경
Ⅱ. 선행연구검토
Ⅲ. 연구방법
Ⅳ. 조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쟁국가인가? 복지국가인가?
-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와 동료지지가 여성 자활근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 자녀와의 지원교환과 노인의 부양책임감에 대한 인식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노인여가활동의 성별차이와 관련요인 비교 연구
- 여성폭력관련 상담소 및 시설 종사자의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및 관련요인 연구
-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friendship network and psychologic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residents
- 활성화(activation), 활성화 레짐(activation regime) 그리고 한국 사회 보호 체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