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전기 文散階의 실제 운영- 開府儀同三司와 特進을 중심으로 -

이용수  22

영문명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정훈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4집, 35~7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는 고려전기 최고 등급의 문산계였던 특진과 개부의동삼사가 수여되는 경우, 이를 띠었던 관직, 수여 대상을 고찰한 것이다. 특진과 개부의동삼사를 띤 관직은 문하시중,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랑평장사, 중서시랑평장사, 참지정사로서, 재신직이었다. 두 문산계를 수여받은 사람들은 예외는 있지만 종실과 재신이었다. 종실로서 특진과 개부의동삼사를 받았던 사람들은 王子, 王子의 아들, 王子의 손자였다. 왕자는 공 또는 후로 책봉될 때, 사공이나 사도로 임명될 경우에는 특진에, 중서령 또는 상서령으로 임명될 경우에는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되었다. 왕자의 아들과 손자는 공주와 결혼하여 伯으로 봉해질 때 특진에 임명되었으며, 후로 승급하면서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되었다. 따라서 종실로서 특진과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된 것은 왕자와 부마였다. 재신은 子이상으로 봉작될 경우 특진에 임명되었으며, 공신으로 책봉될 경우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되었다. 재신의 문산계는 금자광록대부였다. 금자광록대부와 달리 재신이 특진, 개부의동삼사로 편제된 것은 같은 재신이라고 해도 봉작이 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공적이 뛰어난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을 같은 위계질서, 즉 같은 등급의 문산계로 편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공신에 책봉될 정도의 공로를 세운 재신과 그렇지 않은 재신을 구분하기 위해서 개부의동삼사가 수여되었으며, 봉작될 정도의 공을 세운 재신과 그렇지 않은 재신을 구분하기 위해 특진이 수여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봉작 및 공신으로 책봉될 때 관직이 함께 수여되거나 관직을 가진 사람에게 수여되었다. 관직에 대응하는 것이 문산계였다. 그러므로 봉작 및 공신 책봉 시에는 관직에 상응하는 문산계도 지급되었다. 봉작 및 공신 책봉은 공로에 대한 반대급부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봉작 및 공신 책봉 시에 수여되는 특진과 개부의동삼사는 勳階적인 성격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또한 봉작 및 공신 책봉 시에 종실에게도 관직이 수여되었기 때문에 종실도 문산계에 편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official post and social status of persons who were appointed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the highest civil positions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official posts of those who got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were the chief offices, including Munhasijung, Jungseoryeong, Sangseoryeong, Muhasirangpyeongjangsa, Jungseosirangpyeongjangsa and Chamjijeongsa. Even 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the two positions were usually given to the royal family and chief ministers. Among the royal family members who got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were princes, their sons and their grandsons. When a prince was invested with a duck or marquis, he would either be given the position of Teukjin and eventually appointed Sagong or Sado, or given the position of Gaebueuidongsamsa to become Jungseoryeong or Sangseoryeong. When a son or grandson of a prince got married to a princess, he was appointed count and was given the position of Teukjin. Afterwards, when promoted, he was given the position of Gaebueuidongsamsa. Thus, the royal members who received the positions of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were princes and husbands of princesses. When a chief minister was invested with the title of viscount or higher, he was given Teukjin; when he was chosen as a meritorious vassal, he was given the position of Gaebueuidongsamsa. The civil office of the chief minister was Geumjagwangnokdaebu. Because an official with merit and one without merit, or a person with a noble title and one without it, could not share the same rank within the civil hierarchical system, Gaebueuidongsamsa was given to a chief minister with merit to distinguish him from those without merit, and Teukjin was given to a chief minister deserving a noble title to distinguish him from other ministers. This explains why a minister would be appointed Teukjin or Gaebueuidongsamsa in addition to Geumjagwangnokdaebu. During the Goryeo age, merit or a title of nobility was given to an official; if a person did not previously have an official post, he would be given one in addition to the merit or title of nobility. The official post corresponded to the civil hierarchical system. Therefore, when merit or a title of nobility was given to a person, a civil office corresponding to the rank was given to him, too. As the title of nobility and merit were offered as a reward for accomplishments,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awarded with the title and merit should have an honorable character. Furthermore, as the official post was given to royal members when the title of nobility and merit were awarded to them, the royal family was also included in the civil hierarchical syste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훈. (2011).고려전기 文散階의 실제 운영- 開府儀同三司와 特進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54 , 35-73

MLA

이정훈. "고려전기 文散階의 실제 운영- 開府儀同三司와 特進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54.(2011): 35-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