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산(茶山)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 : 몇 가지 비판적 고찰
이용수 116
- 영문명
-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Publicness in Dasan Chŏng Yagyong s Silhak : A Critical Investigation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박영도(Park, Young-Do)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0집, 47~8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글의 목적은 다산 실학에서 공공 성의 구조와 성격을 비판적으로 살펴 보는데 있다. 먼저, 다산의 실학적 선회는 사회적-실천적 전회였지만, 이전회가 인간/우주의 틀을 인간/상제의 틀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면 서, 사회적 지평이 사라지고 실천적-실용적 측면만 남았다. 이와 함께 실학적 공공성의 포괄적인 규범적 지평이 협소하게 폐쇄되는 결과가 발생했다. 둘째, 이 실천적-실용적 전회는 민본적 공공성의 측면에서는 중요한 성과를 가져왔다. 즉 다산은 가족, 국가, 물질적 생산 및 교환영역의 사회적 분화를 인식하고 이 세 영역에서 욕망/이 익의 정치와 도덕의 정치가 매개되는 상이한 방식을 고려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인간다운 삶의 물질적 조건을 균평의 원리에 따라 보장하는 근대지향적 정치구도를 제안했다. 셋째, 다른 한편다산의 공공성 개념은 유교적 공론정 치의 숙의적 공공성을 체계적으로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민본적 공공성을 확보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그러나 민본적 공공 성의 추구가 숙의적 공공성과 함께 진행되지 않는다면 국가주의의 위험을 피하기 힘들다. 그리고 이러한 위험이 발생하는 중요한 이론 내적 이유 중의 하나는 인간/상제의 틀 때문에 체계적 으로 공공성의 탈언어화 경향이 발생한 데서 찾아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ritically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publicness in Dasan Chŏng Yagyong s Silhak. My main argumentation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ly, the paradigm shift from the principle of nature(天理) to shangdi(上帝) made by Dasan resulted in narrowing down the normative horizon of Silhak s publicness. Secondly, Dasan s project of the publicness-for-people(民 本的 公共性) has the modern character and some important implications even for contemporary society in that Dasan grasped the tendency of social differentiation among the family, the state and the market and at the same time sought to regulate the three differentiated regions with the normative principle. Thirdly, however, this project of the publicness-for-people has the result of cutting down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deliberative publicness of the Confucian public sphere. And this has the internal relation with the shift from the principle of nature to shangdi, which resulted in the delinguistification of the publicnes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유교적 공공성에서 실학적 공공성으로
3. 천리에서 상제로의 이행과 그 함의
4. 민본적 공공성의 이념과 그 분화
5. 국가적 공공성의 강화와 숙의적 공공성의 축소: 공공성의 탈언어화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타지 설화의 새로운 해석
- 한국 사회의 공공성과 공적 지식인 * : 그 구조적 특징과 변화- 김동춘 교수와의 대화 -
- 유교 지식인의 公 관념과 公共 의식 : 이익, 정약용, 심대윤의 경우를 중심으로
- ‘道’의 인식 * :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老子≸ 철학의 형성과 전개 Ⅱ
- 매티 노블(Mattie W. Noble)의 일지 * : 한 부인 선교사의 삶과 ‘여성의 영역(Women s Sphere)’
- 다산(茶山)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 : 몇 가지 비판적 고찰
- 兩晉의 종묘제도와 ‘太祖虛位’
- 식민지기 새로운 지식체계로서 ‘조선사’‧‘조선문학’‧‘동양철학’의 형성과 고등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