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타지 설화의 새로운 해석
이용수 170
- 영문명
- New Analysis of the Tale of Geotaji(居陀知)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정연식(Chung, Yeon-Sik)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0집, 169~20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고대에 별자리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특히 왕의 신성성은 별자리 이야기로 장식되어, 고려 왕실의 탄생을 그린 작제건 설화도 별자리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그것은 ≷삼 국유사≸의 거타지 설화를 토대로 한 것으로 보인다.
거타지 설화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사신 양패의 이야기이고 또 하나는 궁사 거타지의 이야기이 다. 양패 이야기에 등장하는 양패, 궁사 50인, 후백제군, 곡도(鵠島), 신지 (神池)는 천절(天節), 삼기(參旗), 필 (畢), 오거(五車), 함지(咸池) 별자리를 상징하며, 거타지 이야기에 등장하는 거타지, 노인, 늙은 여우, 노인의 딸은 호(弧), 노인성(老人星), 낭성(狼 星), 시(矢) 별자리를 상징한다.
거타지설화는 별자리 이야기를 빌어 신라 말의 어지러운 상황을 타개한 한웅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 영웅은 거타지였으며 그는 후에 작제건 설화에 서 왕건의 조부 작제건으로 바뀌었다.
영문 초록
Constellations had significant meaning in ancient Korea. Especially kings divinity had been adorned by the constellation stories. The tale of Jakjegeon(作帝建) which describes the birth of the royal family of the Goryeo dynasty is composed of constellation stories too, and it is believed to be derived from the tale of Geotaji in Samguk-yusa(≷三國遺 事≸) . The tale of Geotaji is composed of two parts. One is the story of envoy Yangpae(良貝) and the other is that of archer Geotaji.
Envoy Yangpae, 50 archers, the troops of Later Baekje, Gokdo(鵠 島) island and sacred pond in the story of Yangpae mean the Oriental constellations of Cheonjeol(天節), Samgi(參旗), Pil(畢), Ogeo(五車) and Hamji(咸池). archer Geotaji, old man, old fox and old man s daughter in the story of Geotaji mean the constellations of Ho(弧), Canopus, Sirius and Phaet.
The tale describes a hero named Geotaji who tided over the troubled situation and saved people in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Later he was transformed into Jakjegeon who was the grandfather of Wang Geon(王建) in the tale of Jakjegeon.
목차
1. 서론
2. 사신 양패(良貝)의 이야기
1) 필수(畢宿) 주변의 사신의 행로
2) 양패의 군사 50인과 후백제군
3) 곡도(鵠島)의 신지(神池)와 오거 (五車)의 함지(咸池)
3. 궁사 거타지(居陀知)의 이야기
1) 여인과 노인과 거타지 호(弧)
2) 노인 가족과 딸 시(矢)의 행방
4. 거타지 설화의 창작의도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타지 설화의 새로운 해석
- 한국 사회의 공공성과 공적 지식인 * : 그 구조적 특징과 변화- 김동춘 교수와의 대화 -
- 유교 지식인의 公 관념과 公共 의식 : 이익, 정약용, 심대윤의 경우를 중심으로
- ‘道’의 인식 * :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老子≸ 철학의 형성과 전개 Ⅱ
- 매티 노블(Mattie W. Noble)의 일지 * : 한 부인 선교사의 삶과 ‘여성의 영역(Women s Sphere)’
- 다산(茶山)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 : 몇 가지 비판적 고찰
- 兩晉의 종묘제도와 ‘太祖虛位’
- 식민지기 새로운 지식체계로서 ‘조선사’‧‘조선문학’‧‘동양철학’의 형성과 고등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