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sector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강병준(Byoung Jun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6권 제3호, 203~2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사회가 발전하면서 정책과정에서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갈등을 완화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갈등관리 전문 교육기관을 지정하고 공공 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갈등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갈등관리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효과성은 검증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부문 갈등관리 교육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참여 동기 및 기대, 교육 강사 전문성, 교육내용 충실성, 교육환경 적절성, 교육운영 적절성, 소속기관 교육관심 및 기대 등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교육성과와 교육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교육추천에 다른 독립변수들이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지만 소속기관 교육관 심 및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종속변수인 교육훈련 효과성 변수 의 교육성과, 교육효과, 교육 추천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교육효과가 부 분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정책적 제언으로 지속적인 교육 참여 확대를 위한 공공 부문 종사자들의 갈등관리 교육 참여 확대, 갈등관리 교육내용의 충실성 개선을 위한 교육내용의 다양화 및 전문화, 갈등관리 교육 이후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사후관리, 소속기관 교육관심과 지지를 통한 교육 효과성 증진, 갈등관리 교육성과 및 교육효과의 관심을 통한 기관성과 향상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implemen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to alleviate these conflicts and to continuously manage them.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has not been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in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students and to cla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motivation and expectation of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lecturer, enhancement of education contents,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management, educational interest and expectation of affiliated institu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spectively. In additio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education recommend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interest and support of affiliate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al effect,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And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such as post - management, improvement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and support of affiliated institutions, and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performance through educational achievement and education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교육훈련 효과성 실증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 인사분야 감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표지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목차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Abstract 및 학보발간지침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표지안
- 성과평가제도의 평가결과 요인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중국 공기업의 신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적 요인이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 개선방안 연구
- 지방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공무원에 대한 징계수준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승진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방형 직위제도의 성과에 관한 실증 연구
- 공공 부문 갈등관리 교육 효과성 연구
- 여성 공무원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