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Punishment Level: The Case of Gyeongsangbuk-do Civil Servants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최병호(Byung-ho Choi) 오정일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6권 제3호, 255~2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징계위원회의 양정 행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관할 24개 시 군이 2008~2016년에 처리한 303건의 징계처분으로부터 연구에 필요한 변수를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 서는 징계 수준의 결정 요인을 전체 표본, 성실의무 위반, 품위유지의무 위반의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다. 징계 수준을 높이는 요인으로 비위 개수, 비위 전력, 여론, 비위 행위의 상습성 및 고의성, 그리고 징계부 가금의 부과 등을 들 수 있다. 비위 전력이 현재의 양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고 비난성이나 언론에 보도가 된 비위에 대한 징계 수준이 높은 것은 환경적 요인이 양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징계부가금은 비위로 인해 얻은 이득을 반환하는 것이므로 징계부가금이 부과되었다고 해서 징계가 낮아질 이유는 없다. 직급, 업무, 근무 기관 등은 징계를 감경시키는 요인이다. 직급이 높을수록 징계 수준이 낮은데 이러한 양정은 수평적 형평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행정직 공무원과 도청 근무자에 대한 징계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훈 전력이 징계 수준을 낮추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ecision equation of Disciplinary Action Committee. We made micro-level data from disciplinary action related documents of the Gyeongsangbuk-do ARC for the period of 2008~2016. The estimation results from OLS and Ordered Probit model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wrongdoing, punishment experiences, public opinion, recidivism, deliberation, and fine increase the punishment level. The more wrongdoing, the higher punishment level. The fact that punishment is proportional to the quantity of wrongdoing is acceptable. But, it is controversial that the past experience of being punished lifts the present punishment level. Fine is imposed to redeem the economic gains from wrong doing. The punishment should not be replaced by fine. Economic gains being accrued to wrongdoing, more severe disciplinary action would be accomplished. The position, job type, and agency type take down he punishment level. If the wrongdoer is ranked high, the punishment level becomes low. It contradicts to the concept of horizontal equity. Also, the wrongdoer who works at provincial government or whose job is managerial receives generous punishment. Finally, it is not evident that prize and punishment are cancelled ou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결과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 인사분야 감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표지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목차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Abstract 및 학보발간지침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표지안
- 성과평가제도의 평가결과 요인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중국 공기업의 신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적 요인이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 개선방안 연구
- 지방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공무원에 대한 징계수준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승진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방형 직위제도의 성과에 관한 실증 연구
- 공공 부문 갈등관리 교육 효과성 연구
- 여성 공무원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