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asang Body constitution based on Blood type and Cold Essential Oils
- 발행기관
- 한국뷰티산업학회
- 저자명
- 허선화(Seon– Hwa Heo) 박주원(Ju-Won Park) 윤혜영(Hye-Yung Yoon) 허선희(Seon– Hee Heo)
- 간행물 정보
- 『뷰티산업연구』제11권 제1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로마 에센셜오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나날이 높아지고 건강한 노년을 위한 삶의 질을 위해 자연 치유요법 같은 대체요법에 대한 수요도 날로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 치유요법의 하나로 아로마테라피는 건강한 몸, 건강한 정신, 건강한 마음으로 신체의 균형 을 이루도록 해 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한의학, 산부인과, 신경과, 간호학 등에서 다양하게 증명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에 사용되는 아로마 에센셜오일이 체질에 따라 다르게 적용 되도록 혈액형 사상체질과 냉성오일에 관한 문헌조사로 129편이 검색된 것중 냉성오일을 인체에 적용된 논문과 효과크기 대상 18편으로 분류하고 냉성오일 변인 63개 중 2개이상 변인을 위주로 한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탐색하였다. 이는 아로마 테라피로 질병을 미리 예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자기 체질에 맞는 에센셜오일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보다 큰 효과로 질병을 예방 할 수 있으며 차후 과학적 기반으로 체질별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한국형 아로마테라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로마 에센셜오일은 추출부위별로 꽃류에서 추출한 오일을 온성오일이라 하고 줄기와 나무, 잎에서 추출한 오일을 냉성오일이라 하며 씨앗, 열매등에서 추출한 오일을 중성오일 이라 분류하였다. 이 추출부위별 오일을 열성체질과 냉성체질에 적용하면 효과가 더 좋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 논문을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As consumers having the increased recognition of essential oils, the alternative medicine such as naturopathy has been progressively demanded for leading healthy old age. It has been proved by oriental medicine, uterology and neurology that aromatherapy helps to maintain the body’s state of equilibrium with the balance of body, spirit and mind. This study is a documentary research to apply essential oils respectively based on Blood type Sasang body constitution, selecting 18 studies which applied cold essential oils to human subject with effect size among 129 studies. It explored researches which measured the effect size of two or more variables out of 63 on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romatherapy that prevents diseases by using appropriate essential oils according to each body constitution based on scientific evidences Essential oils were classified based on where oils are extracted from. ‘Warm oil’ is extracted from flowers and ‘cold oil’ is from stems, trees and leaves while ‘neutral oil’ is obtained from seeds and fruits. This study explored researches with the hypothesis that application of customized oils on ‘hot body type’ and ‘cold body type’ has a great effectiv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의상분야 NEW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