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Natural Henna and Chemical Henna
- 발행기관
- 한국뷰티산업학회
- 저자명
- 김경미(Kyung-mi Kim) 김진숙(Jin-sook Kim)
- 간행물 정보
- 『뷰티산업연구』제11권 제1호, 23~3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인의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은 염색으로도 이어져 천연유래 염모제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천연 헤나는 모발 손상은 적으나 붉은 색으로만 착색되고 착색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복잡한 시술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개선 하고자 화학 성분이 추가된 케미컬 헤나가 시판되고 있다. 또 홈 케어 시장은 계속 증가하였고, 셀프 염색을 계속 반복 시술 한 결과 모발 손상은 커져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모발 및 두피 손상 정도를 낮추기 위하여 천연 헤나와 화학 성분이 첨가된 케미컬 헤나를 비교해 보고 홈 케어 염색시술 시의 유의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탐색적 조사의 접근방식은 국내의 연구논문 자료와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로는 천연염모제인 헤나를 고농도의 녹차 매염액에 녹여 약 30분가량 자연 방치하는 염색 방법이 샴푸 견뢰도 면에서도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케미컬 헤나에 첨가되는 파라-페닐렌디아민이나 파라-아미노페놀, 메타-아미노페놀 등이 화학 염모제 보다 평균 함량이 더 높게 검출되는 등 인체에 다양한 유해 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법적 허용농도를 초과하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어서 제도적으로 체계화 되고, 사후에 감시하는 제도의 도입 등이 필요하다. 소비자를 위해 새치커버용 헤나 염모제에는 화학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인식 되도록 표시성분에 기재하도록 의무화해야 하겠고, 화학 성분의 허용 기준과 배합 기준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식물성 헤나 염모제의 안정성 확보에 주의가 필요하다. 미용사들에 게도 취급 시 유의사항 및 인체의 잠재적 영향에 대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미용교육기관에서의 안전교육을 의무화하여 유해성분의 노출에 대한 예방과 개선을 위해 파라-페닐렌디아민을 대신할 안전한 성분 개발이 시급하며 보다 간단한 패치 테스트 방법 도 연구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Modern people are interested in healthy living. Therefore, the use of natural hair coloring ag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natural henna is less damaged on hair, it is dyed only in red,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dye and complicated surgical methods ar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is, chemical henna to which chemical components are added is sold. In addition, the home care market continues to increase, and as a result of repetitive self-dyeing, damage to the hair is growing. So, in this study, in order to lower the degree of damage of the hair and scalp, I will try to compare the chemical henna to which natural henna and chemical ingredients are added, and to know the points to keep in mind during home care dyeing treatment. The exploratory survey approach for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hesis materials and documents published on the Internet s website.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dyeing method of dissolving the natural hair dye Henna in a high concentration of green tea mordant and allowing it to stand naturally for about 30 minutes is superior in terms of shampoo fastness. P-pheylenediamine, p-aminophenol, m-aminophenol and others added to chemical henna have higher average content than chemical hair dye and cause various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However, since products exceeding the legally acceptable concentration are also on sal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that is institutionally structured and later monitored. For consumers it will be necessary to require that henna hair dye contain chemical ingredients, and the acceptance criteria and formulation criteria of chemical ingredients should be strengthened, We must be careful to ensure the stability of plant henna hair dy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의상분야 NEW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