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럽연합(EU)의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와 결정요인에 대한 고찰:
이용수 71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of social Service and Determinants focused on EU countrie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박수지(Su Sie Park) 이소영(So Young Lee) 이한나(Han N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36권, 333~3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럽연합(EU) 국가의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와 결정요인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노동시장 요인, 정부 요인을 구분하고, 특히 정부 요인이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부요인으로는 재정규모와 중앙집권화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OECD와 ILO에서 취합한 통합시계열자료(pooled time-series cross section data)를 사용하여 OLS 회귀분석기법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요인 중 재정규모가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에 갖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앙집권화는 협의의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광의의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서비스의 민영화에서도 정부역량이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에 갖는 영향을 유의미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중앙집권화가 협의와 광의의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에 갖는 영향이 상이함을 보여준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가 우리나라의 사회서비스 고용규모 확대에 갖는 의미를, 지속적인 정부 개입의 필요성과 중앙과 지방의 역할분담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 social services and its determinants in EU countries. For statistical analysis, we utilized data from cross-sectional OECD and ILO data. Using OLS regression models, we analyzed the effect of ‘government factors on employment in social services, controlling for ‘social-demographic factors and ‘labor market factors. As ‘governments factors, we considered ‘tax as a percentage of GDP and decentralization.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tax as a percentage of GDP significantly affected the employment in social services. Also, decentraliza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employment in narrow range of social services. On the other hand, decentralization didn 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ide range of social services. Finally, we suggest governmental intervention on employment in social services and a strategy of decentralization for employment in care services are necessar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복지국가의 성격과 전망:
- <편집인의 글: 이혜경 교수님 정년퇴임에 즈음하여>
- 유럽연합(EU)의 사회서비스 고용규모와 결정요인에 대한 고찰:
-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조 구축:
- 사회보장기본법의 변화를 통해본 한국 복지국가의 전개과정
-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는 복지국가 변화 연구:
- 복지국가는 왜 빈곤을 없애지 못하는가:
-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 돌봄통합적 사회정책의 재설계
- 한국 복지국가 10년(2000∼2010), 복지혼합 지출구조의 변화와 그 함의
- 한국의 노령여성은 왜 특별히 가난한가?:
- 한국 자활사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조망
- 사회적 기본권과 권리구제
- 친환경무상급식 추진과정에 대한 연구:
- 노동시장과 연금제도의 구조가 노인소득안정에 미치는 결합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