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이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323

영문명
A Explanatory Study on the Public Imag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Senior Welfare Center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최소연(So-Yun Choi) 고언정(Eon-Jeong Ko)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24권, 183~20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그리고 노인복지관에 대한 대중이미지를 파악한 연구 이다. 서울사회복지사협회 대중이미지자료를 활용하여 각 유형별 사회복지기관이 일반대중에게 어떤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는지, 각 복지관에 근접한 이미지는 무엇인지, 그리고 시설에 따라서 대중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해 어의차이 척도로 각 유형의 복지관 이미지를 측정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11개의 유의미한 이미지요소를 추출하여 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해 각 시설이 어떤 이미지로 대중에게 포지셔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관은 ‘안심이 되는’, ‘평판이 좋은’, “깨끗한‘, ’유쾌한’이미지에 근접하고 있었으며 장애인복지관은 ‘실제로 도움이 되는’, ‘민감한’, ‘혁신적인’ 이미지에 그리고 노인복지관은 ‘편안한’, ‘친숙한’이미지에 근접하므로 사회 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이 서로 다른 이미지로 포지셔닝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미지 문항과 복지관유형의 거리를 포지셔닝 맵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세 기관 모두 ‘효율적’이고, ‘혁신적’이고 ‘실제로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되는’ 이미지와는 근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c images of three types of welfare centers: community welfare cente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senior welfare center. Utilizing the public perception data owned by Seoul Social Workers Associ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each of three types of welfare center is perceived by the public, what image is close to i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public perception of each welfare center. The study measured the images of welfare centers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nd abstracted eleven significant image factors using the Multi-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identified the position of the public images of each welfare centers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ree types of welfare centers have different public images. Specificall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perceived by the images of feel relief , good reputation , clean , and pleasant . And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are perceived by the images of practically helpful , sensitive , and innovative . Finally, the senior welfare centers are perceived by the images of comfortable and familiar .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positioning map suggests all of three welfare centers are not perceived to be efficient , innovative , and practically helpful .

목차

I. 서 론
II. 문헌연구
III. 연구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소연(So-Yun Choi),고언정(Eon-Jeong Ko). (2010).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이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4 , 183-208

MLA

최소연(So-Yun Choi),고언정(Eon-Jeong Ko). "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이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4.(2010): 183-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