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ypes of a Stereotype and a Prejud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centered on the process of recognition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이선자(Sun-Ja, Lee) 송유미(You-Me, Song) 김민수(Min-Su,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29권,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Q표본은 32개이며, P표본은 30명이다. 초등학생의 인식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고 제 1유형은 우울열등형, 제 2유형은 진실이타형, 제 3유형은 불결수치형, 제 4유형은 명랑형으로 명명하였다. 제 1유형, 제 3유형, 제 4유형은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비접촉 집단이며, 제 2유형은 접촉집단이다. 또한 제 1유형, 제 3유형은 부정적 인식을 가진 집단이며, 제 2유형과 제 4유형은 긍정적 인식을 가진 집단이다. 이 결과를 통해 다문화에 대한 경험중심의 교육, 인권존중의 교육, 개인-가정-학교를 연계한 통합적 교육의 필요성을 실천적 함의로 도출 하였다. 앞으로 우리사회가 긍정적으로 다문화를 인식하기 위해 다양한 집단의 인식연구가 요구되며, 사례연구와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come out the practical implicature through classifying types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Q-sample of the study is 32 units and P-sample 30 persons. Types of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Multi-Cultural Family were classified into four. The first type was named Depression-Inferiority Type(DIT), the second Truth-Altruism Type(TAT), the third Filthiness-Shame Type (FST), the fourth Brightness Type(BT). Three types except the second are Noncontact group while the second type Contact group. And the first and third types are negative recognition group while the second and fourth types positive ones. From these results, we obtained practical implicature of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to Multi-Cultural Family, Respect of human rights and the Need of integrating education that were connected among individual-family-school. Finally, it is needed to study more on various group for elevating the positive recognition to Multi-Cultural Family, so we proposed needs of study on case study and developing program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근거
3.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해석
5. 결론 및 실천적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