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프리카 말리 세폴라 지역의 금광화작용:
이용수 3
- 영문명
- Gold Mineralization of the Sepola District in Mali, Africa: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Gold and Fluid Inclusion Study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허철호(Chul-Ho Heo)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2권 3호, 167~17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프리카 말리 세폴라 지역의 지질은 하부로부터 하부원생대의 변성퇴적암류 및 화산쇄설성암류로 구성된 비리미안층군과 후기에 이를 관입한 화성암류로 구성된다. 본역의 광상은 비리미안층군내 북서주향의 대규모 단층대 생성과관련하여 2차적으로 형성된 열극대를 따라 열수유체가 충진되어 형성된 맥상 및 광염상 금광상이다. 부존잠재성이 가장 기대되는 바라니 구역은 연장 1.3 km, 폭 1~20.1 m, 품위 Au 0.53~9.21 g/t가 확인되었다. 광석광물은 단순하며,에렉트럼, 황철석, 및 방연석 등이 확인되었다. 금립의 순도는 848~915(평균 891)이며 본역내 금광상은 중~심열수환경에서 생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유체포유물은 액상우세(형), 기상우세 (형) 및 액상함CO2포유물(형)로 분류된다.
초생 및 가이차 포유물의 균일화온도는 236~393oC, NaCl상당 염농도는 0.0~8.6 wt.%이며, 이차포유물의 균일화온도는 103~184oC, 염농도는 0.7~8.6 wt.%이다. 균일화온도 및 염농도관계로부터 유체는 400~250oC범위에서의 압력감소에 의한 유체불혼화 과정을 거친후 천수의 유입으로 희석 및 냉각과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석영맥이 괴상을 보이고 광물수반양상이 단순한 점, 유화광물이 소량 함유되고, 함CO2 포유물이 산출되고 균일화온도가 높은 것등으로부터 본역내 금광화작용은 중-심열수형 광상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geology of Sepola district in Mali is consisted of Birrimian group with metasedimentary rocks of lower Proterozoic
and volcanoclastics, and later intrusive igneous rocks. Ore deposit in this district has the characteristics of
vein- and disseminated-type gold deposit which was formed by infilling the secondary fracture zones related to the
large-scale fault zone of NW direction within Birrimian group. It is confirmed as promising that Barani district has
the gold grade of 0.53~9.21 g/t with the extension of 1.3 km and width of 1 to 20.1 m. The ore mineralogy is simple
with electrum, pyrite and galena. Fineness of gold grain ranges from 848 to 915(average 891) indicating mesothermal
to hypothermal environment. Fluid inclusions are classified as liquid-rich type I, gas-rich type II and liquid-
CO2 bearing type III. Primary and pseudosecondary inclusions homogenize from 236 to 393oC with salinity of 0.0
to 8.6 wt.% NaCl. Secondary inclusions homogenize from 103 to 184oC with salinity of 0.7 to 8.6 w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geniz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it may be thought that auriferous fluid experienced
dilution and cooling through inflow of meteoric water after fluid unmixing derived from pressure decreas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400 to 250oC. From the massive occurrence of quartz vein, simple mineralogy with paucity of
sulfide, and presence of liquid-CO2 bearing with high homogenization temperature, it is thought that gold mineralization in Sepola district correspods to the mesothermal to hypothermal ore deposit.
목차
1. 서 론
2. 지질 및 광상
3. 금의 산출특성 및 유체포유물 연구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풍 폐광산 폐기물 적치장 지하수 및 침출수 수질의 시기별 변화
- 지질도 데이터 모델
-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의 광물자원 및 투자정책
- 아프리카 말리 세폴라 지역의 금광화작용:
- 삼광광상의 모암변질과 원소분산
-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 및 부화특성
- 동결-융해 풍화에 의한 원주지역 쥬라기 화강암의 지질공학적 특성변화
- 서천 길산천 소유역의 고염분 지하수 수질과 산출 특성
- 요인분석과 농약성분 특성에 의한 농업지역의 지하수 수질 평가
- 영남 육괴 북동부 변성퇴적암과 흑운모 화강편마암의 변성 온도-압력 조건과 전암 붕소 함량사이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