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 및 부화특성
이용수 0
- 영문명
- Natural Background and Enrichment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Sediments from the Hamyang-Sancheong A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박영석(Young Seog Park) 박대우(Dae Woo Park) 김종균(Jong Kyu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2권 3호, 195~20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와 부화특성을 알아보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였다. 오염의 우려가 없고, 집수분지를 대표할 수 있는 하상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XRF, ICP-AES와 NAA 분석을 이용하여 주성분원소와 유해원소 함량을 얻었다. 산분해법은 1차로 HClO4와 HF를 혼합하여 200oC에서 분해시킨 후, 2차로 HClO4, HF 및 HCl를 혼합한 후 200oC에서 분해시켜 이를 1% HNO3용액으로 만들었다. 상관분석에서 하상퇴적물의 SiO2함량이 증가할수록 Cu와 Co의 함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함양-산청내 환경유해원소 대부분 부화지수 2 이하로 부화되어 있었으며, 함양지역 하상퇴적물은 Pb>Th>Cr>V>Co>Cu순으로, 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은 Pb>Th>Cr>Co>Vo>Cu순으로 부화되어 있었다. Pb, Cr, Co 및 V의 부화지수는 함양지역과 산청지역에서 거의 비슷한 부화특성을 보였으나, Th의 부화지수는 함양지역 지역에서, Cu의 부화지수는 산청지역에서 높은 부화특성을 보였다. Pb의 부화지수는 각각 2.24(함양), 2.57(산청) 이상으로 부화되어 있었지만, 토양 및 환경오염 허용 한계치(tolerable level)를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에서는 오염에 특별히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We investigated natural background and enrichment characteristics and predicted geochemical disaster for stream
sediments in the Hamyang-Sancheong area. Stream sediments samples were collected 95 ea and 150 ea in study area.
The stream sediments were well known that had not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effect and represented drainage
basins. We got the major and hazardous elements concentrations by XRF, ICP-AES and NAA analysis methods. Acid
decomposition for the ICP-AES has been used HClO4 and HF with 200oC heating at 1st and after that HClO4, HF and
HCl with 200oC heating at 2nd stage. We could know the characteristics that concentration of Cu and Co decreased
when concentration of SiO2 increased in correlation analysis. The enrichment factor of the stream sediments was below 2 in study area. This result indicated that study area belonged to moderate enrichment. The stream sediments of Hamyang area were enriched in order of Pb>Th>Cr>V>Co>Cu and those of Sancheong area were enriched in order of Pb>Th>Cr>Co>V>Cu. The enrichment factor(E.F.) of the Pb, Cr, Co and V was similar between Hamyang and Sancheong area. The enrichment factor of the Th was higher in Hamyang area and that of the Cu was higher in
Sancheong area. The enrichment factor of the Pb was highly enriched in all study area than earth crust mean. But
we could know that study area was not exposed to the pollution of the Pb through the tolerable level.
목차
1. 서 론
2. 지형 및 수계
3.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풍 폐광산 폐기물 적치장 지하수 및 침출수 수질의 시기별 변화
- 지질도 데이터 모델
-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의 광물자원 및 투자정책
- 아프리카 말리 세폴라 지역의 금광화작용:
- 삼광광상의 모암변질과 원소분산
-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 및 부화특성
- 동결-융해 풍화에 의한 원주지역 쥬라기 화강암의 지질공학적 특성변화
- 서천 길산천 소유역의 고염분 지하수 수질과 산출 특성
- 요인분석과 농약성분 특성에 의한 농업지역의 지하수 수질 평가
- 영남 육괴 북동부 변성퇴적암과 흑운모 화강편마암의 변성 온도-압력 조건과 전암 붕소 함량사이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