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강 중류 하상 퇴적층의 기원과 형성시기 및 퇴적율
이용수 43
- 영문명
- Origin, Age and Sedimentation Rate of Mid-Geum River Sediment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오근창(Keun-Chang Oh) 김주용(Ju-Yong Kim) 양동윤(Dong-Yoon Yang) 홍세선(Sei-Sun Hong) 이진영(Jin-Young Lee) 임재수(Jaesoo L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3권 4호, 333~34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강의 지류인 유구천과 정안천은 공주시 일대에서 금강 본류에 합류하는데 금강 중류는 현하상과 구하상에 모래를 많이 포함하는 하천 퇴적물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금강 중류유역에서는 풍화에 상대적으로 약한 중생대의 화강암이 주요한 기반암이지만 금강 상류로 갈수록 풍화에 강한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이 기반암을 형성한다. 하천퇴적물의 주요 기원암은 연구지역 일대의 유구천과 정안천 하류를 포함하는 금강 중류수계 주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과 중생대의 화강암이며, 석영과 장석이 우세한 특징을 보인다. 금강중류에 분포하는 조립질 퇴적물은 기후가 온난 다습해지는 기후조건하에서 강우량 증가에 따라 하상을 따라 운반된 퇴적물과 금강 본류와 지류들의 합류부 주변에서 조성된 범람환경하에서 형성되었다. 14C 연대분석을 통하여 금강중류 유역의 가장 오래된 니질퇴적층의 연대가 약 9,430 yr BP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더 하부에 분포하는 사질퇴적층은 플라이스토세말에서 홀로세 초기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부분 현하상에 분포하는 퇴적층은 3,000-6,000 yr BP로 나타나며, 이는 그 형성시기가 홀로세 중기와 그 이후로서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몬순(summer monsoon) 이 강하게 작용했던 시기이다. 금강중류의 하상과 범람원 퇴적층의 퇴적율을 보면, 하상사질층은 KJ-29 시추공에서 0.12 cm/yr-0.16 cm/yr, KJ-28 시추공의 범람원 퇴적층은 0.02 cm/yr-0.09 cm/yr로 각각 산정되었으며, 범람원보다 현하상에 가까울수록 퇴적율이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Fluvial sediments are widely distributed in present and old river-beds of the mid-Keum River, the tributaries of
which are the Yugu and Jeongan Rivers. The basement of the mid-Keum River area consists of Mesozoic granites
which are easily eroded compared to Precambrian gneisses, which are exposed in the upper-Keum River area. The
provenance of the fluvial sediments includes both the Precambrian gneisses and Mesozoic granites, which occur in
the catchment of the mid-Keum River. The coarse-grained sediments were probably transported from the river-beds
and the overbank floodings of the main Keum River and its tributaries when the climate was warm and wet. The
oldest mud deposits were dated at ca. 9,400 yr BP by the radiocarbon method.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sand
deposits below the dated muds were formed in a period from the Late Pleistocene to the Early Holocene. However
we have revealed that the major part of the present river-bed sediments was formed at ca. 3,000-6,000 yr BP, i.e.,
in the mid- to late Holocene, when summer monsoon was very strong due to climatic changes. We have calculated
fluvial sedimentation rates of 0.12-0.16 cm/yr and 0.02-0.09 cm/yr for borehole KJ-29 river-bed sediments and
borehole KJ-28 floodplain deposits, respectively. We conclude that the sedimentation rate is higher near the present
stream channel than near the floodplain.
목차
1. 서 론
2. 연구지역 개관
3.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해석
5. 종합 논의
6.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금강 중류 하상 퇴적층의 기원과 형성시기 및 퇴적율
- 제주분지 제 5광구 탄성파자료의 중합전 역시간 구조보정
-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을 이용한 비소오염 농경지 토양 안정화 연구
- 해수침투 저감을 위한 균열암반 대수층 내 담수주입시험
- 칼만 RTS 필터를 이용한 선상 중력 자료 보정에 관한 연구
- 국내 폐석면광산 정밀조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기준 마련
- 정준상관 기반의 수량화분석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기법 제안
- 지열에너지 관련 특허 기술동향
- 제주도 서반부의 대수층 체계와 지진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특성
- 말레이시아 랑카위 지질공원의 고생대 퇴적층:
- 석산개발에 따른 주변 환경오염 및 석분토 처리를 위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