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준상관 기반의 수량화분석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기법 제안
이용수 42
- 영문명
- Suggestion of an Evaluation Chart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a Quantification Analysis based on Canonical Correlatio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채병곤(Byung-Gon Chae) 서용석(Yong-Seok Seo)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3권 4호, 381~39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확률론적 방법에 의한 산사태 예측기법의 경우 전문적 지식을 기반으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재해 발생상황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한 산사태예측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공무원, 지질공학자 등 통계적 전문지식을 갖지 않은 재해분야 담당자도 신뢰성 있고 간편한 방법으로 산사태 취약성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문가는 물론 비전문가도 쉽게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정확한 분석을 통한 통계적 접근으로 신뢰성 높은 산사태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국내에서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지역의 지질, 지형, 토질자료를 토대로 산사태 정준상관분석을 통한 수량화 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다. 산사태의 현장자료와 실내시험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영향인자 선정 및 인자별 급간 값을 설정한 것이다. 수량화 분석결과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여러 인자 중 사면경사가 가장 큰 중요도를 가지며, 고도, 투수계수, 간극율, 암질,건조밀도의 순서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평가항목별로 결정된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항목 각각의 세부등급에 대한 점수를 할당하여 산사태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다. 산사태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자는 평가대상 지점에 대해 각 평가항목별 해당 속성, 즉 세부등급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속성별 평가점수를 더하면 산사태 취약성을 점수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토대로 GIS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지도 또는 취약성지도 등을 작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robabilistic prediction methods of landslid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can be reliable with premise
of detailed survey and analysis based on deep and special knowledge. However, landslide susceptibility should also
be analyzed with some reliable and simple methods by various people such as government officials and engineering
geologists who do not have deep statistical knowledge at the moment of hazar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evaluation char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with high reliability drawn by accurate statistical approaches,
which the chart can be understood easily and utilized for both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The evaluation chart
was developed by a quantification method based o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data of geology,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of landslid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field data and laboratory test results and determined influential factors and rating values of each factor. The quantificat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slope angle has the highest significance among the factors and elevation, permeability coefficient, porosity, lithology, and dry density are important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score assigned to each evaluation factor, an evaluation
char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was developed with rating values in each class of a factor. It is possible for an analyst
to identify susceptibility degree of a landslide by checking each property of an evaluation factor and calculating
sum of the rating values. This result can also be used to draw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based on GIS
techniques.
목차
1. 서 론
2. 정준상관분석과 수량화
3. 정준상관분석 기반의 수량화를 통한 산사태 예측
4. 산사태 취약성 평가표 개발
5. 수량화분석 결과의 성능평가
6.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금강 중류 하상 퇴적층의 기원과 형성시기 및 퇴적율
- 제주분지 제 5광구 탄성파자료의 중합전 역시간 구조보정
-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을 이용한 비소오염 농경지 토양 안정화 연구
- 해수침투 저감을 위한 균열암반 대수층 내 담수주입시험
- 칼만 RTS 필터를 이용한 선상 중력 자료 보정에 관한 연구
- 국내 폐석면광산 정밀조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기준 마련
- 정준상관 기반의 수량화분석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기법 제안
- 지열에너지 관련 특허 기술동향
- 제주도 서반부의 대수층 체계와 지진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특성
- 말레이시아 랑카위 지질공원의 고생대 퇴적층:
- 석산개발에 따른 주변 환경오염 및 석분토 처리를 위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