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 나라 백미의 As, Cd, Cu, Pb 및 Zn의 자연함유량과 일일 섭취량 조사
이용수 8
- 영문명
- Background Levels and Daily Intake of As, Cd, Cu, Pb and Zn in White Rice Produced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정명채(Myeong Chae Jung)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6권 5호, 357~36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도에 국내에서 생산된 백미에 함유된 As,Cd,Cu,Pb 및 Zn 의 자연함유량과 백미의 섭 취에 의한 이들 미량원소들의 인체섭취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논농사의 빈도가 낮은 제주도를 제외한 8 개도에 총 63 개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건조, 미분쇄 및 산처리 이후, ICP-AES 를 활용하여 화학분석을 하였다 . 화학분석 결과, 백미에 함유된 As,Cd,Cu,Pb 및 Zn 에 대한 건조중량 기준의 평균함량은 각각 0.126,0.040,1.96, 0.361 및 16.6 mg/kg 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함량은 전세계에서 조사된 백미 내의 미량원소 자연함유량의 평균함량과 유사한 범위이다. 우리 국민의 1일 평균 쌀소비량을 256g 으로 가정하면, 조사된 쌀의 섭취에 의한 As,Cd,Cu,Pb 및 Zn의 1일섭취량은 각각 32.3, 10.2, 502, 92.4 및 4,250 μg/day 으로 계산되었다. 이 값들은 세계보건기구의 미량원소 1일섭취 최대허용량 기준 이내이지만, 쌀의 소비는 우리 국민에게 가장 중요한 미량원소 섭취 경로중의 하나이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ckground levels of As and heavy metals (Cd, Cu, Pb and Zn) and their dietary intakes from white rice produced at various provinces in Korea during 2000. Except Jeju-do, sixty-three rice grain samples were taken at 8 provinces and analyzed for the elements using ICP-AES after acid diges-tion. The average contents of As, Cd, Cu, Pb and Zn in the samples were 0.126, 0.040, 1.96, 0.361 and 16.6 mg/kg(DW), respectively. These levels are within the ranges of worldwide average concentrations in rice grains reported by various research. Assuming the rice consumption of 256 g/day by overall households in Korea, the amount of daily intake of As, Cd, Cu, Pb and Zn by the rice were estimated to be 32.3, 10.2, 502, 92.4 and 4,250 μg/day, respectively. Those amount of daily intakes of the elements by the rice are within the WHO s guide for trace elements, however, rice consump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dietary intake of As and some heavy metals in Korean popul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기물분해에 따른 유류ㆍ중금속 복합오염토양내 비소화학종 변화의 기초연구
- Mn-ferrite 의 중금속 흡착특성 - 폐 페라이트의 중금속폐수 처리 활용 가능성
- 한반도지역에서의 절대 중력관측
- 해안지역 콘크리트의 성능저하 현상과 이에 수반되는 이차광물의 형성 특징
- 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Phenanthrene의 생물학적 처리
- 지하수의 Br : 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 우리 나라 백미의 As, Cd, Cu, Pb 및 Zn의 자연함유량과 일일 섭취량 조사
- 인도네시아 서부자바 땅긍 (Tanggueng) 지역 열수광상의 지질 , 유체포유물 및황동위원소 연구
- 무주지역 소유역내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