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지역에서의 절대 중력관측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Absolute Gravity Measurements in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조진동(J.D. Cho) 김경수(K.S. Kim) 안기덕(G.D. An) 우삼용(S.Y. Woo)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6권 5호, 387~389쪽, 전체 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반도지역에서 중력 기준점 설치 ,기 설치된 중력 기준점의 중력 값들의 정밀도 향상 및 중력가속도 값을 얻기 위 하여, 표준연구원 (KRISS)은 한ㆍ중 공동으로 1996년 10월 8일-11월 8일까지, 국립지리원(NGI)은 한ㆍ일공동으로 1999년 12월 10-16 일까지 각각 대전과 수원에서 절대 중력계 (Laser Interferometry Absolute Gravimeter type NIM-II와 FG5 Absolute Gravity meter(#203))를 사용하여 절대중력관측을 수행하였다. 표준연구원과 국립지리원이 관측한 절대 중력 값은 각각 979,829.609±006 mGal(대전), 979,918.775±0.0001 mGal(수원)이다. 앞으로 한반도에서 지구과학 분야 활성화를 위해서 더 많은 절대중력 기준점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영문 초록
For the establishing gravity base station and the improving the precision of exiting gravity network, and getting the gravity acceleration value in Korea, the absolute gravity measurements have been conducted at Dae-jeon(KRISS) from October 8 to November 8, 1996 with the NIM-II Absolute gravimeter and Suwon(NGI) from December 10 to December 16, 1999 with the FG5 Absolut gravity meter. The each absolute gravity value mea- sured at KRISS and at NGI is 979,829.609±0.0006 mGal from 353 deopes and 979,918.775±010001 mGal from a total 14,346 dropes. I think that we need the many base Absolute gravity st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Earth sci-en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기물분해에 따른 유류ㆍ중금속 복합오염토양내 비소화학종 변화의 기초연구
- Mn-ferrite 의 중금속 흡착특성 - 폐 페라이트의 중금속폐수 처리 활용 가능성
- 한반도지역에서의 절대 중력관측
- 해안지역 콘크리트의 성능저하 현상과 이에 수반되는 이차광물의 형성 특징
- 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Phenanthrene의 생물학적 처리
- 지하수의 Br : 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 우리 나라 백미의 As, Cd, Cu, Pb 및 Zn의 자연함유량과 일일 섭취량 조사
- 인도네시아 서부자바 땅긍 (Tanggueng) 지역 열수광상의 지질 , 유체포유물 및황동위원소 연구
- 무주지역 소유역내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