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for Triassic Plutons from the Wolhyeonri Complex in the Hongseong Area,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오재호(Jae-Ho Oh) 김성원(Sung Wo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6권 5호, 391~40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경기육괴의 서남부 홍성지역은 지구조적으로 중국의 친링-다비에-수루대와 비교 연장되는 봉합대의 하나로 고
려된다. 홍성지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월현리복합체는 주로 신원생대의 편마암과 고생대 중기의 중-고변성의 편암,
정편마암과 변성염기성화산암으로 주로 구성된다. 이 지역은 트라이아스기 중기에서 말기까지의 암맥상 혹은 암주상
의 다양한 관입암이 분포한다. 주 암상은 몬조니암과 반화강암으로 구성되며 부수적으로 소규모 암주상의 몬조섬록암,
섬장암과 섬록암 등이 산출된다. 연구지역 심성암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결과는 237 Ma부터 222 Ma의
범위를 보여준다. 연구대상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은 TaNb의골, P와 Ti의 결핍과 저장력 원소들이 부화된 경향을 가
지는 섭입형 혹은 호상형과 유사한 지화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연구지역 트라이아스기 심성암과 홍성지역의 주 트라
이아스기 심성암인 화강암-섬장암은 대부분 칼륨 함량이 높은 고칼륨 캘크-알칼라인에서 쇼쇼나이트까지의 지구조 특
징을 가진다. 이들 결과들은 중국의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트라이아스기 충돌이후 생성된 후충돌형 마그마 사건의
지구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홍성지역의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은 동북아시아의 지구조동력 역사 내 트
라이아스기 봉합의 중요한 이해를 제공하여준다.
영문 초록
The Hongseong area of th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is considered to be part of suture zone that is tectonically
correlated with the Qinling-Dabie-Sulu belt of China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of collisional evidences during
Triassic in age. The Wolhyeonri complex, preserved at the center of the Hongseong area, consists mainly of
Neoproterozoic orthogneisses and Middle Paleozoic intermediate- to high-grade metamorphic schists, orthogneisses
and mafic metavolcanics. The area includes various Middle to Late Triassic intrusives (e.g. dyke or stock). They are
mainly monzonite and aplite with small intrusions of monzodiorit, syenite and diorite in composition. The SHRIMP
U-Pb zircon ages yield 237 Ma to 222 Ma. The geochemistry of the studied Triassic intrusives show similar subuction-or arc-type signatures having Ta-Nb troughs, depletion of P and Ti, and enrichment of LILEs (large ion lithophile elements). In addition, the Triassic plutons in the Hongseong area, including those from this study, mostly
possess high-K calc-alkaline to shoshonitic tectonic affinity. These results could be tectonically correlated to the
post-collisional magmatic event following the Triassic colli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in
China. Therefore, the Triassic plutons in the Hongseong area offer an important insight into the Triassic geodynamic
history of the NE Asian region.
목차
1. 서 언
2. 지질 개요
3. 연구지역 심성암류의 암석기재
4. SHRIMP U-Pb 저어콘 연대
5. 지화학적 특징
6.트라이아스기 심성암류의 암석성인 및 지구조환경
7.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SNF 심지층 처분장 내 반응성 가스-지하수-벤토나이트 시스템의 장기적 지화학 반응 모델링
- 독일의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시스템 수리지질학적 규제체계 분석
- Brissopsis pohangensis sp. nov., a New Echinoid Species (Spatangoida) from the Middl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