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tamination and Mobility of Toxic Trace Elements in Tailings of Samsanjeil Mine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연규훈(Kyu-Hun Yeon) 이평구(Pyeong-Koo Lee):염승준(Seung-Jun Youm) 최상훈(Sang-Hoon Cho)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8권 4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상남도 고성군 삼산제일 동광산 주변 지역에 방치되어 있는 약 28 만 톤의 광미를 포함한 광산폐기물에 의한 주변 환경의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광미, 폐광석, 주변토양을 대상으로 화학분석(전함량분석, 토양오염공정시험법, 연속추출)을 통하여 유해 미량원소의 함량 및 이동도를 알아보았다. 광미 내 유해 미량원소의 전함량을 배경토양과 비교 했을 때, 부화도가 높은 순서는 Cu(14.0 배)≫As(3.6배)>Co(3.1배)>Zn(2.1배)=Pb(2.1배)>Cd(1.6배) 순이다. 광미 내유해 미량원소의 존재형태(fraction I+fraction II) 를 알아본 결과, 이동이 가능한 존재형태가 많은 순서는 Zn(29.0%) > Cu(12.3%) >Pb(9.6%)>Cd(3.0%)>As=Co(0.0%) 순으로 나타난다. 광미, 폐광석, 주변토양 내 유해 미량원소의 함량및 존재형태를 고려해 볼 때,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유해 미량원소는 구리(Cu)와 아연(Zn)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광미 내 유해 미량원소의 함량을 네덜란드의 기준과 비교한 결과, Cu 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xamine the ext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t abandoned Samsanjeil Cu mines in Kosungkun, Kyeongsangnam-do, we hav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s and mobility of toxic trace elements from mine wastes including about 280,000 tonnages of tailings by chemical experiments (total extraction, partial extraction by 0.1N HCl an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Total concentrations of trace elements showed that Cu, As, Co, Zn, Pb, and Cd concentrations in tailings were 14.0, 3.6, 3.1, 2.1, 2.1 and 1.6 times greater than those in background soil, respectively. From the proportion of metals bound to the exchangeable and carbonate fractions, the comparative mobility of metals decrease in order of Zn(29.0%)>Cu(12.3%)>Pb(9.6%)>Cd(3.0%)>As=Co(0.0%). Based on the concentrations, chemical speciations of tailings, waste rock and nearby soil, it was revealed that Cu and Zn were the most possible elements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Samsanjeil mine area. In addition, the tailings had total trace metal concentrations below Dutch guideline values except Cu, and they might not affect adverse impact on environment.
목차
1. 서 론
2. 광상 및 지질
3. 연구방법
4. 시료채취
5. 결과 및 토론
6.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산제일광산 광미 내 유해 미량원소의 오염 및 이동도
- 중국의 주요 비철금속 기업과 2003 년 생산동향
- 러시아 극동지역의 광상생성구에 대하여
- 주성분분석과 지구통계법을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특성 연구
- 전주 , 군산 , 남원지역 강수의 Sr, Pb 동위원소 지화학
- 시계열 수질 분석에 의한 제주도의 해저용출수 탐사 및 검증
- 영상레이더를 이용한 목포 지반침하 관측
- 칼린형 금광상 탐사와 국내 적용성 연구
- 입체 디지털 영상처리에 의한 암반사면의 불연속면에 대한 3 차원 정보 추출
- 광주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페로 몰리브덴 공정 배출 SOx 처리
- 낙동강 유역의 일 유출량에 대한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