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급, 특수학급, 로봇 환경에서의 중등도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
이용수 169
- 영문명
- Language environment and interaction of a child with moderate autism : Comparison of robot-mediated instruction,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권정민(Jungmin Kwon) 김영태(Youngtae Kim)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3권 제3호,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로봇을 이용한 특수학급에서의 수업 상황, 로봇이 없는 특수학급 수업 상황, 그리고 로봇이 없는 일반 학급 수업 상황에서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 환경적 특성을 비교하고 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3주 동안의 추이를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언어 환경에 있어서 세 조건 간에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침묵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적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발화, 단어 말하기, 구어적 상호작용 세 가지를 분석하였는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에 따른 추이를 살펴 본 결과 중재 시작 시 발화, 단어, 구어적 상호작용 모두에 있어 로봇이 높게 시작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떨어져 나중에는 특수학급이나 일반학급 수업 상황 보다도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영문 초록
In the current study, we compared the language environment and changes in interaction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uring robot-mediated instructio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inclusive classroom for the period of 3-week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conditions except for the amount of silence. As for verbal interaction, numbers of spontaneous communication, word production, and verbal interaction were cou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conditions, however, all correlation tests proved to be significant across time. We found that in robot condition, spontaneous communication, word production, and verbal interaction started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 or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However, as time passed, the decreas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wo.
목차
요약
Ⅰ. 자폐성 장애와 로봇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측정 도구
3. 사용된 로봇 및 프로그램
4. 연구 절차 및 자료 수집
5.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
6. 자료 처리
7. 신뢰도
Ⅲ. 연구 결과
1. 로봇 사용 상황, 로봇이 없는 특수학급 수업 상황, 로봇이 없는 일반학급 수업 상황에서의아동의 언어 환경은 어떠한가?
2. 로봇 사용 상황, 로봇이 없는 특수학급 수업 상황, 로봇이 없는 일반 학급 수업 상황에서 아동의 발화와 단어 말하기, 구어적 상호작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특수학급에서 로봇 사용 상황, 로봇이 없는 특수학급 수업 상황, 로봇이 없는 일반학급수업 상황에서 아동의 발화 와 단어 말하기, 구어적 상호작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eeing both Wood and Trees : A Theory-of-Mind Spectrum Emerges from the Conversations with Students Identifi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tellectual Difficulties
-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초등학생의 구체어 및 추상어 산출
- 자폐성 장애아동의 적응행동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몸짓 관련 연구 동향
- 일반학급, 특수학급, 로봇 환경에서의 중등도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
- 자폐성 장애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 및 지원요구
- 2-4세 일반아동의 자발화 표본크기와 평균발화길이의 비교
- Agreement on Ratings among Mothers, Teachers, and Play Therapist on Progress of Preschool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djustment/Social Interaction Problems through Play Therapy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