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멸치어업 발전사
이용수 159
- 영문명
- History of the Korean Anchovy Fisheries
- 발행기관
-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 저자명
- 신용민(Yong Min Shin)
- 간행물 정보
- 『해양비즈니스』제36호, 79~1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nchovy is the most produced fishing species in Korea. Consumers widely use anchovies as side dishes, soup-base, and salted anchovies (Jeotgal). This study is on the development history of anchovy fishery in Korea. Although research of old documents is needed for the study of fisheries history, there is very little documentation of anchovies. Also, there was no unified name for anchovy nationwide.
Anchovy name and fisheries start to appear in documents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 Dynasty. Such indicates anchovy was not an important commercial species. The reason seems to be its small size, fast decay, and the lack of process for drying them or making salted anchovies, leading to no intentional fishing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an abundance of population. Going through the end of Korean Empire and Japanese occupation, modern anchovy fishing gear and methods such as anchovy boat seine, set net, lift net, gill net were introduced and anchovies became popular.
Last year, there were worries of anchovy population depletion due to climate change. Important as food not only for Koreans but also for other fish, anchovy needs mo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멸치와 멸치어업
Ⅲ. 전통 멸치어업
Ⅳ. 근대 이후의 멸치어업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