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이용수 57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n Elementary School STEAM Progra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기은지(Ki, Eun Ji) 이미자(Lee, Mijar)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1호, 43~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15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초등학교 1개 학급 학생 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총 23차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에 사전과 사후 창의적 인성 검사와 학습동기 검사를 하고 t-검증을 하였으며 동시에 교사의 수업일지와 학생과의 면담 등의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결과를 도출하였 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신장시키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융합인재교육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 수업방법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미래역량으로 강조하고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class applying a STEAM program influences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ttain the goal, this author reorganized a STEAM program previously developed and applied it to a class in D Elementary School, for eight weeks, with total 23 sessions.
Also, this study conducted the pre- and post-test of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n the t-test. Accompanying it, qualitative data, the teacher’s daily records of classroom work, teacher and students’ interviews were analyzed to draw results comprehen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class applying the STEAM program had very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Second, class applying the STEAM program influence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meaningfully. Based on the results, STEAM-based integrated class is useful in cultivating persons of ability with refinement for convergence and creativity which are being stressed as future competence and has educational value, too.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 강화를 위한 표현 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업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압력평형(pressure equalizing) 불안증세가 스쿠버다이빙 시 대학생 초보 다이버의 심박수와 호흡량의 차이분석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 쓰기에 나타난 문해적 어휘 발달 종단 연구
- 비수도권 대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의 스탠스(stance)에 따른 한국소설 감상 양상 분석 <외국인 유학생 감상문의 담론적 소통 양상을 중심으로>
- 기회의 망 이론이 미래 교육공동체 설계에 주는 시사점
- 표현활동 프로그램참여 전/후 따른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분석
- 중학생의 과학 흥미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 홍콩, 미국을 중심으로
-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학습계약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비판적사고성향 및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직업윤리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활용하여
- 강의평가 주관식 응답에 나타난 교수와 학생의 의견 차이 비교 분석: 강의의 장‧단점 의견에 대한 네트워크 및 내용분석
- 중년기 성인의 건강지각이 노화불안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증명에 관한 신념 탐구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의 연결 관점에서-
- 청소년이 개념화하고 있는 ‘국민’의 의미
- 교사의 피드백을 통한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데이터추론학습 과정
- 무엇이 발명영재를 과학영재와 구별하는가?
- 특성화고등학교(자동차계열) 영어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요목 분석 연구
- 재능 있는 개인의 능력 계발 및 발휘에 관한 연구 - 쇼팽 콩쿠르 1위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모의면접을 중심으로-
-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지향성에 따른 직업가치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학력 차이를 중심으로
- 교사의 상호작용과 민감성이 3세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쓰기 주제에 따른 언어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대학 글쓰기를 대상으로-
- 학습자 질문중심 교수법의 효과: MOOC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 기반
-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육 지원 방안
- 유아 리더십과 유아 창의성 및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이 학생 농구선수의 평형성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대안학교 학생들의 실천공동체를 통한 과학 학습자로서의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
-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수학 수업 분석 준거 개발
- 학업정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의 창의인성 교육 신념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 세계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초․중․고 학교급 별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은유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