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팀 불안정의 개념 정립
이용수 687
- 영문명
- Conceptualization of Team Insecurity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미희(Mihee Kim) 신유형(Yuhyung Shin) 임형록(Hyung Rok Yim)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5권 제2호, 257~2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의 조직에서 팀제의 도입이 보편화됨에 따라 팀 단위의 조직개편 및 구조조정과 같은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직 내구성원들의 불안정에 대한 관심은 아직까지도 ‘직무’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는 실제 조직 현장에서 발생하는 팀의 지속성을 위협하는 현상에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하게 되는 ‘팀 불안정(team insecurity)’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소속 팀이 규모가 줄어들거나 다른 팀과 통폐합되는 것으로부터 비롯되는 불안정은 서로 협동하고 상호의존적으로 팀 과업을 수행하는 팀 구성원들의 태도 및 행동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이러한 팀 불안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팀과 관련한 불안정은 간과되어 왔거나 혹은 직무 불안정에 포함되어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것이 가지는 고유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새로운 다차원 구성개념으로써 팀 불안정을 제안 하였다. 구체적으로 팀 위기관리 문헌을 기반으로 하여 팀 불안정이 팀 구조조정(team restructuring), 팀 상대적 위상(relative team status), 팀 구성(team composition)과 정서적 반응(affective reactions)의 4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임을 제시한다. 또한, 본연구는 팀 불안정이 기존의 유사개념들(예: 직무 불안정, 부정적 정서, 팀 정체성 위협, 그리고 팀 몰입)과 개념적으로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사회적 정보 프로세스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팀 수준에서 팀 불안정 풍토의 형성을 설명하고, 이와 함께 팀 수준에서의 유관 변수들(예: 집단 신경증, 팀 갈등, 집단 사기 그리고 부정적 집단 정서적 분위기)과의 개념적 차이점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기존 불안정 연구 영역에서 보다 정교하게 팀 불안정 현상을 분리 및 포착함으로써 그 의미가 있으며, 동시에 팀 연구 및 팀 풍토 연구의 확장에도 기여한다. 이와 같은 본 논문의 이론적 논의들은 팀제를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는 실제 조직의 실무자들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team-based structure of contemporary organizations has resulted in frequent reorganization and downsizing of work teams. While a vast amount of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ployee job insecurit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security of a team. To fill this gap, we propose “team insecurity” as a new construct. We define team insecurity as cognitive and affective perceptions of team members concerning threats to the continuity of their team. Drawing on the team crisis management literature, we posit that team insecurity consists of sub-dimensions such as team restructuring, team relative status, team composition, and team affective reactions. Furthermore, grounded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e postulate that team insecurity perceptions emerge as a team climate construct because team members exchange information and develop a sense-making process within the team. Lastly, we conceptually differentiate team insecurity and team insecurity climate from related individual (i.e., job insecurity, negative affect, team identity, team commitment) and team (i.e., group neuroticism, team conflict, group morale, negative group affective tone)-level constructs. As the first scholarly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construct of team insecurity,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m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 검토
Ⅲ.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위원장 서언: 인사조직연구 조직행동 분야 연구방법의 경향과 시사점
- 특별세션 서언: 리뷰논문의 중요성: 조직행동 분야를 중심으로
- 공유된 긍정 정서(Shared Positive Affect)의 기제,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한 고찰 및 긍정 조직학(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에의 적용
- 팀 불안정의 개념 정립
-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 리뷰와 메타분석 연구
- 프로테제의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과 연결 상대 멘토들의 중심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불확실성과 관계자본에 대한 존재론적 일고찰: 행위자와 구조 관점
- 고성과 작업시스템 지각이 과업성과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발언행동의 개념적 검토와 분석
-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의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