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pplication of Bacterial Meningitis Score for Bacterial Meningitis and Enteroviral Meningitis in Pediatric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박민환(Min hwan Park) 김신재(Sin jae kim) 염정숙(Jung Sook Yeom) 박지숙(Ji Sook Park) 박은실(Eun Sil Park) 서지현(Ji Hyun Seo) 임재영(Jae Young Lim) 우향옥(Hyang Ok Woo) 윤희상(Hee Shang Youn)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5권 제1호, 39~4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소아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발열을 동반한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세균성 뇌수막염과 무균성 뇌수막염을 감별하는 것이지만 초기 증상 및 검사실 소견 만으로 두 질환을 감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 기간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최근 개발된 Bacterial Meningitis Score (BMS)는 여러 연구를 통해 세균성 뇌수막염의 가능성이 낮은 환자군을 초기에 감별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예측지표로 검증되어 왔다. 우리 연구는 뇌척수액에서 원인균이나 장바이러스가 동정된 뇌수막염 환자에 BMS를 후향적으로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분석하고 두 환자군의 초기 혈액학적,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여 추가적인 임상 지표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장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이나 세균성 뇌수막염으로 진단된 2개월 이상에서 16세 미만의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장바이러스성 뇌수막염 환자 289명, 세균성 뇌수막염 환자 10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두 환자군의 BMS의 세균성 뇌수막염 예측에 대한 민감도는 80%, 특이도는 72%, 음성 예측도는 99.0%로 분석되었다. BMS에서 세균성 뇌수막염의 위험도가 매우 낮다고 분류된 환자 210명 중 2명(1%)이 세균성 뇌수막염 환자였으며 모두 3개월 미만의 영아였다. 세균성 뇌수막염 환자는 장바이러스 뇌수막염 환자에 나이가 어렸으며(0.3세 vs. 5.0세, P<0.01) 발열 기간이 길었다(6일 vs. 2일, P<0.01). 뇌척수액 내 백혈구 수(530/mm3, vs. 43/mm3, P=0.04) 및 절대중성구 수(490/mm3 vs. 20/mm3, P<0.01), 단백질 농도(106 mg/dL vs. 30 mg/dL, P<0.01) 및 혈장 C-반응단백농도(79 mg/L vs. 4.5 mg/L, P<0.01)가 세균성 뇌수막염 환자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결론: BMS가 세균성 뇌수막염의 위험도가 매우 낮은 환자들을 찾아내는 좋은 임상예측지표이지만 나이 어린 영아에 적용하는 데는 임상적인 한계가 있었다. BMS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환자의 나이, 뇌척수액 소견, C-반응단백 농도등의 임상적인 소견을 고려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Bacterial meningitis score (BMS) has been introduced as a clinical predictive parameter for diagnosing cerebrospinal fluid (CSF) pleocytosis in children at very low risk of bacterial meningitis in the postconjugate vaccine er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e BMS and to identify an additional index to distinguish between enteroviral meningitis and bacterial meningit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cluded 289 patients with enteroviral meningitis and 10 patients with bacterial meningitis between the aged 2 months to 16 years. We applied the BMS to all the included patients, and compared the initial laborator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210 patients categorized as having a very low risk of bacterial meningitis based on BMS, 2 (1%) had bacterial meningitis, both of whom were younger than 3 month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the BMS for bacterial meningitis were 80%, 72%, and 99%, respectively. Compared with patients with enteroviral meningitis, those with bacterial meningitis were younger (0.3 years vs. 5.0 years, P<0.01), had higher leukocyte count (530/mm3 vs. 43/mm3, P=0.04), neutrophil count (490/mm3 vs. 20/mm3, P<0.01), and protein level (106 mg/dL vs. 30 mg/dL, P<0.01) in the CSF, and increased serum C-reactive protein (CRP) level (79 mg/L vs. 4.5 mg/L, P<0.01).
Conclusion: Although the BMS is a useful clinical predictive parameter for identifying children with CSF pleocytosis who are at very low risk of bacterial meningitis, it should be applied with caution in young infants. In addition to applying BMS, clinical parameters such as CSF profiles and serum CRP levels are useful in clinical decision making for the management of children with CSF pleocytosis.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NDMA 수용체 뇌염:
- 뇌전증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대처 및 삶의 질 분석
- 요추천골 신경총염으로 오인된 대퇴골 골수염 영아
- 중증 근무력증의 분류 및 치료 지침
- 세균성 뇌수막염과 장바이러스 뇌수막염에 대한 세균성 뇌수막염 점수의 적용
- 두통이 있는 학생들에서 두통과 관련된 장애와 예측인자:
- 보건교사의 두통 학생 관리 현황
- Protein C 결핍에서 발생한 소모성 응고질환으로 인한 뇌내출혈로 야기된 뇌성마비 환자에 대한 증례기록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드라베 증후군의 SCN1A 유전자 변이 양상
- 급성 출혈성 백질 뇌염에서 확산텐서영상 추적검사의 유용성 증례
- 국소 신경학적 징후 없이 경련으로 발현된 자발성 내경동맥 박리 1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NEW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3 no.3 Contents
- Ending the Diagnostic Odyssey: Making Whole-Exome/Genome Sequencing the First-Line Test for Global Developmental Delay
- A Rare Case of Epileptic Encephalopathy Caused by X-Linked ALG13 Gene Mutation in a 6-Year-Old Gir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