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위학교 재정 운영의 쟁점 및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1,200
- 영문명
- A Study of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김용남(Kim Yong Nam)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6권 제1호, 119~14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회계제도 도입 이후 단위학교 재정 규모가 확대되면서 재정 건전성, 효율성, 책무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위학교 재정운영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회계제도의 관련 법령 및 세입·세출 현황 분석, 지방교육재정담당자 대상 심층면담 등에 기초하여 단위학교 재정제도의 쟁점을 추출하였다. 학교회계와 교육비특별회계와의 관계 재설정 필요, 수익자부담경비 부담 주체 및 별도 계정 관리, 교육청과 학교의 학교 재정 영역 재설정, 학교회계 재정데이터의 정합성, 목적사업비 규모, 학교회계의 과다한 이·불용액, 기본적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투자, 학교재정 운영의 책무성 및 투명성 등이다.
각각의 쟁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법·제도적 개선 방안으로 학교회계 관련법령 재정비 및 「(가칭)지방교육재정법」 제정을 제안하였다. 둘째, 단위학교 학교 재정 투자 방향 정립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향후 교육 핵심서비스의 확대를 위해 표준교육비 확보 기준까지 교육핵심서비스 비용 확대를 제시하였다. 또한 목적사업비 교부 방식 개선을 통한 자율성 제고를 위하여 단위학교 목적사업 선택제 실시, 목적사업비 집행의 유연성 확보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운영 및 재정 정보에 대해 학교 구성원들 간 정보를 공유하고 학교 재정 정보의 충분성과 이해가능성 제고를 위해 학교재정정보 공개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chool Accounting System is by supporting various education activity effectively through the autonomous and effective finance management of each school centers,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principal, receiving requirement of budget by people included the faculty, organizes a budget of the autonomous tax expenditure and performs the tax resources combined by one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level of School Education Screening by School Management Committee. Extracted issue items of School Accounting System Management based on related acts of School Accounting System and an analysis of revenue·expenditure status,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and so on are suggested as follows. 1) the need to rese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ccounting and Special Accounts for Education 2) to distinguish things whether they are needed to be managed by School Accounting System depending on nature of Beneficiaries Pay Expenses, to manage Beneficiaries Pay Expenses by the separate account, 3) the issue to clarify the role of the Education Office and school and to define the scope of the budget needed to be transferred to school. 4) to manage the finance fitted on the Accounting Principles in order to improve consistency of School Accounting Finance Data and the double-counting problem of various funds given to parents for the education welfare· solving education disparities, 5) over-sized Purposed Program Expenses which infringes the autonomy of the School Accountancy and the mismatch between the time the expense granted and the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6) the excessive amount of non-spent money occurred and the low investment of fundamenta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7) insufficient institutional mechanisms to enhance th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of financial operations of School Accounting Finance Management.
School Accounting, to manage separated accounts for beneficiaries pay expenses, legal· Institutional improvement methods including to improve the funding process method and to enhance the consistency of School Financial Accounting, to enhance autonomy through improving the method to issue Purposed Program Expenses, to strengthen accountability through School Finance Evaluation, to create and publish School Finance Report by constructing the School Finance Information Publication System, to establish direction of each school s financial investment and so on, it proposed the method to improve School Accounting Management.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단위학교 재정 운영 실태 분석
Ⅲ. 학교회계 재정운용 쟁점 분석
Ⅳ. 학교회계 제도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