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성 강하물질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Acid De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권오영 윤오섭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20권 제2호, 39~5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ry and wet deposition samples were continuously collected by deposit gauge. In Bulkwang area of Seoul and Kanghwa in west coastal area of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air pollution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Bulkwang area located in Seoul and Kanghwa in west coastal area were chosen for sampling site. dry deposition concentrations, pH,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soluble ion concentrations of deposit gauge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urban area and coastal area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concentrations of dry deposition in Bulkwang was 2.807 ton/km$^2$/month (range: 5.171~1.128 ton/km$^2$/month) while that in Kanghwa was 1.990 ton/km$^2$/month (range: 3.358 ~ 1.084 ton/km$^2$/month),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areas. The rainfall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0 recorded 1859.7 mm which was 78.8% of its mean amount in Seoul, and 1846.9 mm which was 81.6% that of Kanghwa. In Bulkwang area,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eposit chemical composition were 0.95 for SO$_4^{-2}$ and Na$^+$, 0.94 for SO$_4^{-2}$ and NH$_4^+$, 0.93 for CI$^-$ and NH$_4^+$ and 0.85 for Cl$^-$ and Ca$^{2+}$, respectively. The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lfates such as $Na_2SO_4$, $(NH_4)_2SO_4$, and CaSO$_4$ were the major chemical state of deposit. In Kanghwa area, it was considered that NaCl, $NH_4NO_3$, NaNO$_3$, and $Ca(NO_3)_2$ were the major chemical state of deposi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엔통형 고정상 생물막법에 의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 카드뮴 및 아연투여에 의한 흰쥐의 장기내 Cadmium 축적 및 Metallothionein 생성변화
- 혐기성 생물막법의 Start Up에 있어서의 충진제 및 무기염류의 영향
- 산성 강하물질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일부지역에서 재배한 채소류 및 토양중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 축산유래 식중독 세균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제1보 : 일부 농촌지역 젖소 유방염의 발생양상 및 그 원인균이 항균요법제에 관한 감수성
- Chlorella ellipsoidea 엽록체막의 인지질 및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항생제의 효과
- pH 변화에 따른 산업종류별 오니류의 중금속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 활성오니처리 장해의 규명과 그 제어에 관한 연구
- 음용수 중의 이취미 발생물질의 규명 및 제어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