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Taekwondo Athletes’ Sport Injury and the Measures to Improve Their Coping Abilit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민경훈(KyeongHoon Min) 이종민(JongMin Lee) 정한기(HanKee Ju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1호, 143~15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실태 중 발생시기와 주요원인은 체급과 선수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생상황은 학년과 체급, 선수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 상해 대처능력 방안 중 응급처치는 학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해예방은 학년과 선수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치료방법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태권도 선수들은 연습 시가 스포츠상해 발생시기이며, 넘어지는 상황에서 스포츠 상해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또한 기술부족이 스포츠 상해의 주요원인이 된다는 것이 스포츠 상해 실태의 결론이다. 더불어 스포츠 상해의 대처능력 방안은 얼음찜질로 응급처치를 하고, 본인 마사지로 치료하였다. 또한 상해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피로회 복이 상해예방의 최선으로 인지하였다.
영문 초록
As for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taekwondo athletes’ sport injury, times of occurrence and major causes showed differences in weight class and career, while situations of occurrence had differences in grade, weight class, and career. As for the measures to improve their coping ability, first aid showed differences in grade, while prevention of injury had differences in grade and career. Treatment methods turned out to have no differences. For college taekwondo athletes, sport injury occurred during exercise, mostly when they fell. In addition, lack of skill was the greatest major cause of sport injury. As for the sport injury coping ability, ice massage was used as first aid and self-massage was performed. For prevention of injury, sufficient fatigue recovery was considered to be the priority of prevention of injur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방사선영상 시스템에서 산란선이 영상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 취급 시 L-block 차폐기구 사용에 따른 핵의학 종사자의 장기 선량평가
- 인터벤션 시술 시 면적선량계를 이용한 환자 방사선 선량 평가
- 디지털 흉부 방사선 영상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영상품질 분석: 미국 방사선 안전국 규정 평가표 중심으로
- 필름계측을 이용한 3차원 소동물 팬텀의 선량평가
- 의료기관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능 방어에 대한 인식도 및 수행도 분석: 부산지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 Breast PET CT 영상 재구성 변화에 따른 대조도 대 잡음비와 신호 대 잡음비의 비교평가
- 핵의학과에서 사용하는 납 앞치마의 방사선 차폐율 평가
- 다양한 팬텀 모양 및 재질에 따른 전산화단층촬영장치 선량 평가
- 한의사의 의료영상장비 사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인식도
- 디지털 이동방사선검사에서의 세균 오염도
- 셀레늄이 전리방사선에 의한 힌쥐 모델에서의 갑상선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 성문암 세기변조방사선치료에서 두 가지 열가소성 마스크에 대한 환자위치잡이 오차 평가
- 대학의 실내 라돈가스 농도의 변화 평가
- 대학 태권도 선수의 스포츠상해 실태와 대처능력 방안
- 초음파영상에서의 임신초기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이용한 임신성당뇨 위험인자 평가
- DICOM 영상에 의한 STL 파일 구조가 보청기 이어 쉘 제작에 미치는 영향
- Bone-Anchored Hearing Aid Implant에 대한 1.5 T와 3.0 T에서 MRI 안전성의 생체외 평가
- 몬테칼로 기법을 이용한 방사선 선량증가 물질에 따른 선량증가 효과 평가
- 유방암 방사선치료에서 변형영상정합기법을 이용한 선량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