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Patient Radiation Doses Using DAP Meter in Interventional Radiology Procedure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강병삼(ByungSam Kang) 윤용수(YongSu Yoon)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1호, 27~3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외 각국에서 발표된 중재적 방사선 영역에서의 환자선량을 조사하였으며, 전국 23개 주요 병원에서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는 13개의 주요 중재적 방사선 시술에 대한 환자선량을 DAP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술별 피폭선량에 관한 8,415 건의 국내 자료를 확보하고, 각 주요 시술별로 참고 선량치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경동맥화학색전술 237.7 Gy•cm2, 투석용 동정맥루 인터벤션시술 17.3 Gy•cm2, 하지 혈관질환의 인터벤션시술 114.1 Gy•cm2, 뇌혈관조영술 188.5 Gy•cm2,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383.5 Gy•cm2,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 64.6 Gy•cm2, 담도 스텐트설치술 64.6 Gy•cm2, 요로 폐색에 대한 신루설치술 22.4 Gy•cm, 다목적 중 심정맥 카테터 삽입시술 4.3 Gy•cm2, 항암제 주입 목적의 매몰형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시술 2.8 Gy•cm2, 혈액 투석 목적의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시술4.4 Gy•cm2, 카테터를 이용한 배액시술 17.1 Gy•cm2 그리고 장기혈관 색전술 357.9 Gy•cm2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선량참고치는 방사선 인터벤션 시술에서 환자선량을 줄일 수 있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으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참고선량치에 대한 연구는 장비의 발달과 시술방법, 재료의 발전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감안하고 선진국에서는 5년마다 시행되고 있음을 참고할 때, 향후 면적선량을 유효선량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국내시술에 적합한 한국형 변환계수가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author investigated interventional radiology patient doses in several other countries, assessed accuracy of DAP meters embedded in intervention equipments in domestic country, conducted measurement of patient doses for 13 major interventional procedures with use of Dose Area Product(DAP) meters from 23 hospitals in Korea, and referred to 8,415 cases of domestic data related to interventional procedures by radiation exposure after evaluation the actual effectives of dose reduction variables through phantom test. Finally, dose reference level for major interventional procedures was suggested. In this study, guidelines for patient doses were 237.7 Gy•cm2 in TACE, 17.3 Gy•cm2 in AVF, 114.1 Gy•cm2 in LE PTA & STENT, 188.5 Gy•cm2 in TFCA, 383.5 Gy•cm2 in Aneurysm Coil, 64.6 Gy•cm2 in PTBD, 64.6 Gy•cm2 in Biliary Stent, 22.4 Gy•cm2 in PCN, 4.3 Gy•cm2 in Hickman, 2.8 Gy•cm2 in Chemo-port, 4.4 Gy•cm2 in Perm-Cather, 17.1 Gy•cm2 in PCD, and 357.9 Gy•cm2 in Vis, EMB. Dose referenece level acquired i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ble to use as minimal guidelines for reducing patient dose in the interventional radiology procedures. For the changes and advances of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equipments and procedures in the interventional radiology procedures, further studies and monitorings are needed on dose reference level Korean DAP dose conversion factor for the domestic procedur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방사선영상 시스템에서 산란선이 영상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 취급 시 L-block 차폐기구 사용에 따른 핵의학 종사자의 장기 선량평가
- 인터벤션 시술 시 면적선량계를 이용한 환자 방사선 선량 평가
- 디지털 흉부 방사선 영상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영상품질 분석: 미국 방사선 안전국 규정 평가표 중심으로
- 필름계측을 이용한 3차원 소동물 팬텀의 선량평가
- 의료기관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능 방어에 대한 인식도 및 수행도 분석: 부산지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 Breast PET CT 영상 재구성 변화에 따른 대조도 대 잡음비와 신호 대 잡음비의 비교평가
- 핵의학과에서 사용하는 납 앞치마의 방사선 차폐율 평가
- 다양한 팬텀 모양 및 재질에 따른 전산화단층촬영장치 선량 평가
- 한의사의 의료영상장비 사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인식도
- 디지털 이동방사선검사에서의 세균 오염도
- 셀레늄이 전리방사선에 의한 힌쥐 모델에서의 갑상선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 성문암 세기변조방사선치료에서 두 가지 열가소성 마스크에 대한 환자위치잡이 오차 평가
- 대학의 실내 라돈가스 농도의 변화 평가
- 대학 태권도 선수의 스포츠상해 실태와 대처능력 방안
- 초음파영상에서의 임신초기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이용한 임신성당뇨 위험인자 평가
- DICOM 영상에 의한 STL 파일 구조가 보청기 이어 쉘 제작에 미치는 영향
- Bone-Anchored Hearing Aid Implant에 대한 1.5 T와 3.0 T에서 MRI 안전성의 생체외 평가
- 몬테칼로 기법을 이용한 방사선 선량증가 물질에 따른 선량증가 효과 평가
- 유방암 방사선치료에서 변형영상정합기법을 이용한 선량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