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두경부암의 종양표지자로서 Glutathione S-Transferase 파이에 관한 혈청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er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pai as head and neck tumor marker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임구영(Koo Young Lim) 김명진(Myung Ji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22권 제1호, 52~64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tumor marker is useful in evaluating the stage, prognosis and treatment of cancer. Although many substances are known as tumor markers for the head and neck cancer, few substances have proven to be of much significance. GST-π is a tumor marker newly reputed for it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usefulness of GST-π as a tumor maker for the head and neck cancer is assessed in this paper.
The author measured the GST-π levels in plasma of 25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Group I), 13 patients with other head and neck cancers(Group Ⅱ), 25 benign oral diseases(Group Ⅲ) and 25 healthy subjects as control(Group Ⅳ) by the sandwich enzyme-immunoassay system. Using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the author evaluated GST-π activity in 11 squamous cell carcinoma, 6 other head and neck cancer, 15 benign oral disease, and 5 normal tiss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lasma levels of GST-π show 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p<0.01); The levels of GST-π were 43.9(48.6ng/ml in the plasma of Group I, 76.6(60.4ng/ml in Group Ⅱ, 26.5(18.5ng/ml in Group Ⅲ, and 12.7(4.9ng/ml in Group Ⅳ.
2. The plasma levels of GST-π between control and cancer patien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those of benign and cancer patients are less significant. The shape of and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are used to assess the differentiation of each groups; The area under the curve between Group Ⅱand Group Ⅳ, Group Ⅱand Group Ⅲ, Group I and Group Ⅳ, and Group I and Group Ⅲ was 0.85, 0.72, 0.66, and 0.53 respectively.
3. The optimum cut-off value in differentiating the malignant and nonmalignant groups was 32ng/ml (sensitivity 53%, specificity 90%). Although GST-π shows a slightly low sensitivity, it is a possible tumor marker in a wide rangs of cancer.
4. GST-π was useful in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patient, since it increased with the progression of the tumor and decreased after treatment.
5. GST-π was expressed as a brown pigment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lthough some normal and benign tissues were reactive, no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stromal connective tissue and the cytoplasm of the tumor cells showed a homogenous distribution of GST-π is a potenitial immunohistochemical tumor maker.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연구대상 및 방법
III. 연구결과
IV. 총괄 및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악하부에 발생한 재발성 다형성 선종
- 과두절제수에 의한 안모비대칭의 개선후 하악골의 재위치에 관한 두부계측 방사선학적 연구
- 동적인 운동이 골내이식물 표면이 전기화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항섬유소용해제의 국소 적용이 발치후 지혈 및 창상 치유에 미치는 효과
- 상하악 동시이동술의 임상적 연구
- 소아에 발생한 하악 과두돌기 골절의 치료 : 증례보고
- Hydroxyapatitie-coated 임프란트 주위에서 치주인대의 형성
- 악교정수술환자에서 술전ㆍ후의 교합력 변화에 관한 연구
- 하악과두돌기 골절과 악관절 내장증 환자의 악관절에서 채취한 혈액에서 PGE2에 대한 효소면역학적 분석
- Inlay Type의 골이식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과 One-Stage 인공치아 매식술
- 단독형 신경섬유종의 치험례
- 유리섬유막을 지지체로 한 부분정제 골형성 단백의 이소송 골형성 효과
- 선천성 근성 시경으로 인해 발생된 안모변형의 외과적 교정
- 총상으로 인한 이물질 환자의 치험 2증례
- 임프란트 식립을 위한 하치조신경 전위술 후 신경손상 및 회복에 대한 임상연구
- 개에서 임프란트의 골유착에 미치는 탈회상아질기질의 영향
- 한국인 상악치은 및 구개점막에 발생한 암종의 치료와 예후에 대한 연구
- 성견의 골결손부에서 3종의 지혈제가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 두경부암의 종양표지자로서 Glutathione S-Transferase 파이에 관한 혈청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하악전돌증 환자의 구내 하악골상행지 수직골절단술 후 골절편드의 장기 형태개조에 관한 임상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