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report of pigmented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Bednar tumor)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이정삼(Jeong Sam Lee) 김건중(Kean Jung Kim) 정종철(Jong Cheol Jeong) 민홍기(Heung Ki Min) 최재선(Jae Sun Choi) 박홈례(Heum Rye Park) 박성혜(Sung Hye Park) 하승연(Seung Yon Ha)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23권 제1호, 145~15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ednar tumor was described by Bednar in 1957. The histologic pattern of this tumor shows similar to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DFSP) but melanin pigments are scattered within the tumor, It s rare neoplasm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1-5% of all case of DFSP. Clinically, this tumor is considered to be intermediated malignancy, because of slow growth and frequent local recurrence and lack of distant metastasis. The majority are located on the trunk and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but extremely rate in the head and neck area.
Microscopically, this tumor is characterized by tight storiform spindle cells and long slender cells that admixed with a small population of melanin containing dendritic cells. This dendritic cells are the primary features distinguising this lesion from conventional DFSP. Complete surgical excision and close follow-up case are necessany for this neoplasm because of probable intermediate malignancy.
A patient was admitted to Our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due to swelling on right parotid area and numbness of the right lower lip on September, 1994, By clinical examinations and C-T finding, we dignosed tentatively as myxoma or pleomorphic adenoma. Surgical excision of this tumor was performed with parotidectomy and mandibular osteotomy under the frozen biopsy. By final microscopic and electromicroscopic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this tumor was diagnosed as Bednar tumor. So, we report a case of pigmented DFSP with review of literatures.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증례보고
III. 고찰
IV. 요약
REFERA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후의 개교합 및 회귀 성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 하악골에 발생된 법랑아세포성섬유성치아종
- 경골근위부 자가망상골 이식술
- 하악골절의 내고정에 미치는 SCREW수와 길이의 영향
- 항우울제의 타액분비 감소효과에 대한 세포내 칼슘증가제의 영향
- 관혈적 정복술이 시행된 하악골 골절환자에서 T-scan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에 관한 연구
- 치성 상악동염에 대한 기능적 부비동 내시경술의 치험례
- 하악 구치부 치주인대에서 발생한 변연성 백악질 섬유종의 치험례 : 증례보고
- PCBM을 이용한 하악골 재건술
- 발치후 Nd: YAG LASER 조사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 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후 기능적 물리치료에 대한 환자 적응도 및 개교합 성향
- 색소성 융기성 피부섬유육종(Pigmented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의 치험례
- 상악골 악성종양절제술환자의 생존율 및 상악폐쇄보철물 등에 관한 임상적 연구
- 동종골의 처리 방법에 따른 골 치유 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구강악안면외고영역 논문의 정보과학전 분석
- 비대칭 하악전돌증 환자에서의 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IVRO) 시행후 우각부 비대칭 개선의 평가
- 악관절의 Closed Lock 증례에 대한 Lavage 및 Manipulation법의 치료 성적
- 최근 5년간 안면근막극 농양의 임상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