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치모형을 이용한 우수관거 내 토사퇴적량 산정
이용수 104
- 영문명
- Estimation of Sedimentation in Urban Sewer Using Numerical Modelling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송양호(Song, Yang Ho) 윤 린(Yun, Rin) 이정민(Lee, Jung Min) 이정호(Lee, Jung H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1호, 235~2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심지 우수관거 내부에서 발생되는 퇴적은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고 집중 호우시 침수피해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들 중하나이다. 이러한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관 내부를 점검하여 관거 본래의 기능이 보전될수 있도록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우수관거로 유입되는 토사량에 대한 거동 특성과 발생하는 퇴적에 대한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형을 바탕으로 우수관거와 동일한 제원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경우 관거의 내부에 유입되는 조건과 유사입자크기 및 유입유사량을 변화해가면서 진행하였다. 조건별로 관거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송⋅침전현상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퇴적토사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수리학적인 분석의 경우 향후 실제 현상과 같은 거동을 비교, 검토할 경우 CFD 모형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관거에 대한 유입조건들의 변화로부터 계산된 값이므로 실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연구결과는 개선방안을 정립하고 다양한 분야의 수리구조물 관련 설계와 유지관리지침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Sedimentation occurs in urban sewer, it disturbs the runoff rate and one of the main reasons causing inundation during heavy rainfall. In order to eliminate risks, we must check the inside of the sewer at any time or on a regular basis. Based on this, systematic maintenance management is necessary so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sewer can be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sedimentation phenomena for the amount of sediment flow rate into the sewer system. In this study,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pplying the same specification as a sewer based on a numerical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while changing the particle size and inflow rate similar to the runoff condition into the sewer. The transport and erosion phenomena occurred in the conduit were reviewed. Based on this, the amount of sedimentations was calculated.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at the hydrodynamic analysis carried out on the CFD model was able to use this effectively when comparing and examining the same behavior as the actual phenomenon. These results were calculated simply from changes to inflow conditions, maybe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 However, this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be able to establish an improvement proposal, and to utilize design and maintenance management guidelines of repair structures in various fields.
목차
1. 서 론
2. 수치모형 방법 및 시뮬레이션 조건
3. 수치모형을 이용한 관내 퇴적토사량 예측
4.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하가열조건하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화재응력 저감도 분석 연구
- 기상청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충주댐 유역 미래 PMP 산정
- 해양자원이송용강관에 미치는 압축부 부분손상의 영향분석
- 고온 환경에서 소방활동에 따른 심박수, 체온 및 염증지표의 연관성
-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과 지지부 조건이 고려된 넓은 보의 전단강도 산정식 제안
- 건물침수지역과 시가지유형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레일의 자기이력곡선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화재 시 건축물의 개구부 개폐 여부에 따른 구조 성능 변화 예측을 위한 해석 연구
- 유리커튼월 시스템에서 커튼월용 노즐과 윈도우 스프링클러의 열차단 성능 분석
- 수치모형을 이용한 우수관거 내 토사퇴적량 산정
- 교량구간의 급속경화궤도 거동분석
- 교통분야 국가기반시설 재난관리 고도화 방향
- 줄눈 채움재 크기에 따른 투수 블록 포장의 표면 침투율
- Cool Roof Database 분석을 통한 스테인리스 지붕재의 요구 성능에 관한 연구
- 비규격 비닐하우스 보험심사를 위한 설계강도 산출모형 개발
- RUSLE기법을 활용한 사방댐 유역의 토사유출량 산정 및 유역특성 분석
- 기준저수량 산정에 따른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성 평가: 내성천유역을 중심으로
- K-12 학교 범죄예방환경개선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건설안전사고 사전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기법 적용
- 샌드위치 패널 (대형물류)창고 실태조사를 통한 화재 시 건축적 대응 방안 기초연구
- 등가손상지수와 WIM 데이터를 이용한 잔존 피로수명 예측: 1. 간편한 피로수명 평가법 제안
- 도시유출모형 관망 입력자료 자동추출 프로그램(SS-NET) 개발
- 영구 저류지 건설에 따른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효과분석 연구
- 토석류 모니터링 계측자료 신뢰도 향상을 위한 중앙값필터와 칼만필터 적용
- 서울시 소방서비스의 공간적⋅사회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 SWMM의 관망 구성 밀도에 따른 도시 침수 범람 해석의 정확성 평가
- 상수관망 지진재해 신뢰성 모형의 민감도 분석
- 혼합정수계획법을 이용한 현 저수량 기준의 가뭄 대응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의 결정 및 저수지 운영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제조시설 화재위험 예측모델 개발 연구
- 전산유체해석에 의한 원전 정비편의시설의 위험성 평가
- 호우의 역추적기법을 적용한 예측강우 편의보정
- 다기준 의사결정방법을 이용한 홍수방어 대안 선정
-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유역의 수문학적 지역화: 경기도 내 30개 지구를 대상으로
- 추정오차분석을 통한 최적 강우관측망 구축에 대한 연구
- 일 강수량자료의 시간적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추계학적 점강우모형의 적용
- 도심수로내 조류발생 예측을 위한 CE-QUAL-W2 모델의 적용
- 빗물펌프장 운영시나리오에 기반한 홍수재해저감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 지역대기모델을 이용한 우리나라 최대 강수량 추정을 위한 사전 연구: 태풍 루사 강수량 재현
- 개발사업에 대한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광역도시 사회경제적 재해 취약성 평가
- 보 건설 후 낙동강 하류 물금 지역의 수환경 및 조류 발생 특성 변화
- 공조겸용 제연시스템의 성능확보를 위한 압력손실에 관한 연구
- 접합부의 형상비가 기둥-슬래브 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온실에 대한 적설심 설계기준 개선방안
- 등가손상지수와 WIM 데이터를 이용한 잔존 피로수명 추정: 2. 감천교 피로수명 평가
- 소방 구조 활동을 위한 실시간 영상 개선 시스템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