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약물질의 환경오염과 환경보건
이용수 103
- 영문명
- Pharmaceuticals in Environment and Their Implication in Environmental Health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최경호(Kyung-Ho Choi) 김판기(Pan-Gyi Kim) 박정임(Jeong-Im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35권 제6호, 433~4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harmaceuticals in the aquatic environment are trace contaminants of growing importance in environmental health due
to their physiologically active nature. Pharmaceuticals could affect non-target species and might eventually damage sustainability of susceptible populations in the ecosystem. Potentials for health consequences among susceptible human population cannot be ruled out since long-term exposure to cocktails of pharmaceuticals, which might be present in drinking water, is possible. Selection of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is of another concern. In order to understand, and if needed, to properly address the environmental health issues of pharmaceutical residues, knowledge gaps need to be filled. Knowledge gaps exist in many important areas such as prioritization of target pharmaceuticals for further risk studies, occurrence patterns in different environments, chronic toxicities, and toxicities of pharmaceutical mixtures.
Appropriate treatment technologies for drinking water and wastewater could be developed when they are deemed necessary.
One of the simplest, yet most efficient measures that could be undertaken is to implement a return program for
unused or expired drugs. In addition,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frameworks for pharmaceuticals would make it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potential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associated with pharmaceutical residues in the environment.
목차
I. 문제의 배경: 환경오염물질로서 의약물질
II. 의약물질의 환경 중 유입경로
III. 환경보건 측면의 중요성
IV. 우리나라의 환경 중 오염수준과 위해성연구 현황
V. 의약물질 환경보건 문제의 대응방향
VI.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시 일부 지하철 역사 내 공기 중 진균 농도에 관한 연구
- 버스와 자전거를 이용한 통근 수단에 따른 PM10 노출량의 비교
- 성게의 초기 발생계를 이용한 인천연안해수 수질평가
- Use of Portabl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s in Exposure Analysis for Time-location Measurement
- 서울 지하철 객차 내 PM10과 CO2의 농도 변화
- 학원시설 실내공기질과 이용자의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 의약물질의 환경오염과 환경보건
- 확산길이에 따른 수동식 유기용제 시료채취기의 시료채취성능에 관한 연구
- 음식물류폐기물 및 배출폐수의 특성
- 전기응집/부상 공정에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TiO2 수용액의 탁도 처리조건 최적화
- CRDS Study of Tropospheric Ozone Production Kinetics :
- 석면과 환경성 질환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와 Multi-Dimensional Scaling 분석을 이용한 시화공단 시흥천의 수질지표 및 미생물 군집 분포 연구
- 토양 중 PBDEs와 PCBs의 농도분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