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부 음식점 주방의 부유세균 및 부유진균 조사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Assessment of Bacterial and Fungal Aerosols in the Kitchens of Restaurant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종규(Jong-Gyu Kim) 박정영(Jeong-Yeong Park) 김중순(Joong-So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0권 제2호, 98~10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irborne bioaerosols such as bacteria and fungi in the kitchens of restaurants,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rmal factors on the levels of the bioaerosols.
Methods: Air samples were taken from kitchens of nine restaurants. An Anderson type air sampler was used for sampling and measurements. Petri dishes filled with a microbiological culture medium(trypticase soy agar for bacteria and Sabouraud dextrose agar for fungi) were used as the sampling surface.
Results: The levels of bacterial aerosol measured were 10-10
3 CFU/m
3 and fungal aerosol 10-10 2 CFU/m
3 ,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kitchens were 24.6
o C and 46.4%, respectively. Overall, the levels of bacterial aerosol varied by the restaurant type, and fungal aerosol by the business period(p < 0.05). The main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interaction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to the bacterial level were significant(p < 0.05), whereas th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onto the fungal level.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a wide variation in the levels of bioaerosols among different kitchens. The observed differences in bioaerosol levels in the kitchens reflect different periods of use. The interaction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to the bacterial level suggest that constan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void peaks of contamin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 내 부유 곰팡이 농도 및 환경요인
- 우리나라 환경보건지표 개발 과정과 활용
- PCBs의 광화학적 연구: NaOH 및 휴믹산(Humic acid, HA)에 의한 분해특성
- 전자산업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독성예측을 위한 QSAR 접근법
- 대학 구내식당 식품위생환경의 세균오염도 조사연구
- 지렁이 분변토와 주정슬러지 혼합 배양액을 이용한 Biofilter에서의 고농도 악취제거
- 고엽제 피해자에 대한 국가 보상 현황 및 보훈 정책 원리 수정 제안
- 일부 음식점 주방의 부유세균 및 부유진균 조사연구
- 고체 고분자 전해질(SPE)을 이용한 전기분해 공정에서 Rhodamine B 분해
- HPLC-MS/MS를 이용한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사산물의 다중 분석법 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