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ildhood Onset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Treatment and Outcome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김우중(Woo Joong Kim) 최선아(Sun Ah Choi) 김수연(Soo Yeon Kim) 김헌민(Hun min Kim) 임병찬(Byung Chan Lim) 황희(Hee Hwang) 최지은(Ji eun Choi) 김기중(Ki Joong Kim) 채종희(Jong Hee Chae)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4권 제4호, 223~23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소아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소아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환자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치료 방법과 예후에 대한 연구를 함이 목적이였다.
방법: 2004년부터 2014년 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뇌신경센터를 방문하였던 환자 중 EFNS/PNS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소아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으로 진단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 하였다. 환자들은 일차 약제로 면역글로불린, 정맥용 스테로이드 또는 혈장교환술을 사용하였다. 일차 약제에 반응 하지 않을 경우 면역억제제를 추가하였다.
결과: 10명(남아 4명, 여아 6명)의 소아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환자들의 평균 진단 나이는 8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46.2개월이었다. 본 연구에서 소아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환자들은 8명(80%)에서 아급성 경과를 보였고, 6명(60%)에서 다상성 경과를 보였다. 4명의 단상성 경과를 보이는 환자들은 면역 글로불린(양호 반응 0%, 부분 반응 75%)에 비해 혈장교환술(양호반응 50%, 부분반응 50%)을 시행하였을 때 양호한 치료 결과를 보였다. 또한 진행성 경과에서 스테로이드는 효과가 없었다. 반면에 6명의 다상성 경과를 보이는 환자들은 면역 글로불린(양호 반응 50%, 부분반응 50%)과 혈장교환술(양호반응 40%, 부분 반응 60%)에서 유사한 치료 반응을 보였다. 5명의 다상성 환자들은 일차 치료에서 불응기 경과를 보였고, 그 중 4명의 환자들은 사이클로스포린 투약 후 양호 반응을 나타냈다. 8명의 환자들은 6개월 동안 재발을 보이지 않아 장기적인 치료 경과는 양호하였다.
결론: 진행하는 단상성 소아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에는 조기 혈장교환술이 효과적이며 불응기 다상성 소아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에는 사이클로스포린이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childhood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CIDP) as well as the treatment responses and outcom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of 10 cases of childhood CIDP followed up for more than a year.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IV steroid and plasmapheresis was considered as the first line therapy and used according to patient’s response. Immunosuppresant agent was added when patients did not respond to the first line therapy.
Results: 10 CIDP cases (4 male and 6 female) were enrolled, and the median age of onset was 8 years (range 3-15 years).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46.2 months (range 12-82 months). Our patients manifested more frequently with subacute onset (n=8, 80%) and polyphasic course (n=6, 60%). All ten patients had lower extremity weakness at presentation (100%), six patients complained of upper extremity weakness (60%), and three patients reported sensory changes (30%). In the monophasic course (n=4), plasmapheresis showed a better treatment response (good 50%, partial 50%) compared to IVIG (good 0%, partial 75%) and steroids (good 0%, partial 0%), especially in progressive phases. In the polyphasic course (n=6), IVIG (good 50%, partial 50%) and plasmapheresis (good 40%, partial 60%) showed similar treatment responses. Five patients were refractory to first line treatment and received immunosuppressants; four patients received cyclosporine and achieved successful disease control without significant side effects. The overall long-term outcomes were favorable, with eight patients (80%) showing minimal symptoms and no relapse within 6 month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early administration of plasmapheresis in progressive monophasic course and cyclosporine in refractory polyphasic course may be effective in childhood CIDP.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도의 위장관염과 동반된 경련
- Opsoclonus-Myoclonus-Ataxia Syndrome의 임상 양상과 치료반응
- 소아에서 계절성 인플루엔자의 신경학적 또는 신경근육 합병증
- 이상성 경련과 후기 확산 감소를 동반하는 급성 뇌병증
- 혈청 나트륨 농도가 열성 경련의 발생 및 재발에 미치는 영향
- 소아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의 치료 및 효과
- 신생아 허혈성 저산소뇌병증에서 저체온 치료의 장기 예후
- 소아기 피부근염의 임상 양상과 치료 반응
-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발달지연 환자의 종적 추적 관찰
- 소아 지속 발작의 임상 특성
- 편두통 유사 증상을 보인 갑상샘기능항진증 1례
- 뇌전증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복용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폐렴구균 수막뇌염 이후 급성 미만성 백질 병변으로 진행한 6개월 영아 1례
- 터너증후군에 동반된 Leigh 유사 증후군 1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NEW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3 no.3 Contents
- Ending the Diagnostic Odyssey: Making Whole-Exome/Genome Sequencing the First-Line Test for Global Developmental Delay
- A Rare Case of Epileptic Encephalopathy Caused by X-Linked ALG13 Gene Mutation in a 6-Year-Old Gir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