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ditional Chivalrous’ Character and Thematic Consciousness in Jianxiazhuan (劍俠傳)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禹康植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50집,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唐宋 傳奇소설집인 《劍俠傳》을 중심으로 하여 묘사된 俠의 형상과 주제의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劍俠傳》의 중국 무협소설사에서의 의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劍俠傳》은 唐宋 시기의 傳奇 소설을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묘사된 俠은 俠의 초기형상이라 할 수 있는 古典俠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劍俠傳》에서 묘사된 俠의 형상을 분석하는 것은 중국 무협소설사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요구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劍俠傳》에서 묘사된 각종 劍俠의 형상과 서사, 그리고 주제의식 등은 이후 무협소설 창작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劍俠傳》에서 묘사된 인물의 형상은 武俠型, 報恩復讎型, 盜俠型, 刺客型, 奇人型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고, 각 작품들은 또한 일관된 주제의식을 가지고 편찬되지도 않았다. 물론 俠義精神을 비롯하여 전통 관념을 표현한 서사가 다수를 차지하긴 하지만, 일부 작품에서는 현실성이 결여된 묘사 또한 상당부분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현실성이 결여된 서사에 대해서 어느 정도 용인해야 하는지의 문제는 무협소설이 해결해야하는 과제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is to survey the character of Chivalrous and thematic consciousness described, focusing on Jian Xia Zhuan which is Chun Qi novel in Tang-Song period and through that to find Jian Xia Zhuan s meaning in the Kung-Fu novel history in China.
Jian Xia Zhuan is called the character of traditional chivalrous in the early stage in the fact that it shows Chuan Qi in Tang-Song period. So analyzing the character of chivalrous described in Jian Xia Zhun is a necessary work in understanding Kung-Fu novel history in China. Some characters, narrations and thematic consciousness described in Jian Xia Zhuan had a major role in writing Kung-Fu novels. The character described in Jian Xia Zhuan was expressed in various form such as chivalrous spirit, chivalrous type, requital type, chivalrous robber type, assassins type, and Queer figures type. Of course there were some narrations that expressed Chivalrous spirit and traditional idea. But in some works there were a lot of present-absent description. Especially, it is up to Kung-Fu novels how far limit to allow in present-absent narrations.
                    목차
국문제요
	                       
	                          1. 들어가는 말
	                       
	                          2. 《劍俠傳》에 나타난 古典俠의 형상
	                       
	                          3. 《劍俠傳》의 주제의식
	                       
	                          4. 나가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王蒙의 《紅樓夢》 비평
-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 영화 <첨밀밀>과 <8월의 크리스마스> 속 사랑의 불안함과 머뭇거림
- 《劍俠傳》에 나타난 古典俠의 형상과 주제의식에 관한 연구
- ‘5·7 간부학교(五七幹校)’ 시기 지식인의 표상과 딜레마
-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에 선 여성 이미지 고찰
- 문학과 의학의 교융(交融), 송대 의학 지식의 전파와 그 의미
- 여성주체의 이중성으로 본 여성성장의 일면
- 清末口岸文人张赤山与《海国妙喻》研究
- 중국 고대 애정소설에서 하녀의 서사적 역할에 관한 연구
- ‘奇’에 미치다
- 《閩都別記》에 나타난 同性爱 故事 类型 小考
- 《于公案奇聞》의 판본과 재판의 영웅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