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민영화 관점에서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 비교연구
이용수 760
- 영문명
- A Comparison Study between Homeschooling in Korea and in the US in terms of Educational Privatizatio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육권인(Youk, Kwon-In) 백일우(Paik, Il-Woo)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6권 제6호, 55~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민영화 관점에서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한국 홈스쿨링의 제도화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교육민영화관점을 검토하고, 이를 분석준거로 삼아 미국과 한국 홈스쿨링
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설립 면에서 홈스쿨링 학생 수는 미국과 한국 모두 증가하고 있다. 둘째, 교육비용부담면에서 정부 비용에 대하여, 미국에서는 정부가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을 부담하고
있으나, 한국 법률안에는 정부 비용부담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고 있다. 셋째, 교육서비스생산 면에서 부모 가계소득과 부모 학력은 미국과 한국 모두 중산층, 고학력의 학부모가 많이 참여하고 있다. 넷째, 교육관리 면에서 부모 교육권
과 정부 규제는 한국은 미국에 비해 교육권 확보에 소극적이고, 한국 법률안은약한 규제 수준이다. 다섯째, 교육성과 면에서 사적수익인 학업성취도는 미국은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국은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논의를 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how the homeschooling system in Korea can be institutionalized in comparison with its system in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educational privatization. The literature review made it possible to provide a critical criterion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major finding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homeschooling students has been on the rise in terms of sponsorship. Second, regarding funding, whereas the US government has paid for both direct costs and indirect costs, the
government’s funding is not legally defined in Korea. Third, homeschooling parents are more likely to be in middle-income and highly educated groups in both countries when it comes to production. Fourth, in terms
of governance, not only Korean parents seem to be less proactive in possessing their educational rights but also Korean legislation’s regulation level is being low. Finally, with regard to outcom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homeschooling has been measured and verified in the States while it has not been monitored in Korea ye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