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ADIOGRAPHIC STUDY OF PERI-IMPLANT BONE LO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MORPHOLOGY ON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이준휘(Jun-Hee Lee) 홍종락(Jong-Rak Hong) 김창수(Chang-Soo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32권 제6호, 575~57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eri-implant bone loss and implant success on anterior maxillary alveolar ridges and Compare Class III and Class IV ridges in the aspect of peri-implant bone loss.
Material and Methods
14 patients (aged 21 to 68, 6males and 8females), who lacked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were installed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03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selected. The type of implant used included 30 Br¨anemark implant. They were taken with digital tomographic and conventional intraoral radiographic examinmation, and were treated with implant installaion without bone augmentation. The peri-implant bone resorption was measured at the mesial and distal aspect of implant on the conventional intraoral radiographs.
Results
The study classified the anterior maxillary alveolar ridge and measured peri-implant bone resorption from the period of implant installation to the 2nd year after functional loading radiographically. The study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ich was classified by its morphology. The average bone resorption on healing period before loading was 0.18mm and 0.18mm, the 1st year of loading period, 0.77
mm and 0.84mm, and on the 2nd year of loading period, 0.07mm and 0.06mm, respectively on both Class III and class IV.
Conclusion
In the knife edge form of anterior maxillary residual ridges(Class IV), implant placement without ridge augmentation does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at of Class III alveolar ridge in the concern of Implant success after 2 year functional loading period in the aspect of peri-implant bone resorption radiographical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악에 발생한 법랑아세포 섬유-치아종의 치험례
- 협부지방에서 성체 줄기세포의 분리와 골모 세포로의 분화
- 경부 및 이하부에 발생한 침습성 지방종의 치험례
- 골격성 하악전돌증 환자의 유전적 경향에 대한 분석
- 개구장애 환자의 병인, 감별진단 및 치료방식에 대한 임상연구
- 토끼 경골에서 치과용 임프란트의 RBM 및 SLA 표면처리에 따른 조직계측학적 연구
- 최근 5년간 구강악안면 낭종 환자에 대한 통계학적 검토
- bFGF, PDGF-BB가 백서 골수기원 간엽 줄기세포의 조직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괴사성 근막염:
- 골격성 III 급 부정 교합자에서 양악 회전 수술 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혈관형성 신호전달 물질의 발현과 미세혈관농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임플란트주위골 흡수 및 상악전치부 치조제 형태와의 관계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 하치조신경 마취시 하악공으로의 접근을 위한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한 방사선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Isolated bilateral temporalis hypertrophy: a rare case report and technical insight into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 Survival outcomes of third molar autotransplantation according to impaction severit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EDITORIAL] Rethinking the specialist system and residency training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rom the crisis over medical school enrollment in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