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MUNOHISTOCHEMICAL ASSAYS FOR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SIGNALING MOLECULES AND MICROVESSEL DENSITY IN ADENOID CYSTIC CARCINOMAS OF HUMAN SALIVARY GLANDS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박영욱(Young-Wook Park) 인연수(Yeon-Soo In)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32권 제6호, 530~543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deonoid cystic carcinoma (ACC)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s of salivary glands. It is characterized by a relentless regrowth especially around nerve tissues and a high rate of hematogenous distant metastasis. Clinically most deaths from salivary ACC are caused by delayed lung metastases that are resistant to conventional chemotherapy. So, knowledge of cellular and molecular properties that influence the dissemination of
metastatic tumor cells, is important for new treatment strategies of metastatic lesions. We determined expressions of angiogenic signaling molecules microvessel density (MVD) using surgical specimens of human salivary ACC. Protein expression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VEGF receptor (VEGFR)-2, activated VEGFR-2, and human CD31 were assessed in 20 cases of salivary ACC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ost of the tumors, especially ACC with a tubulocribriform pattern, were positive for antibodies of VEGF, VEGFR-2, and activated VEGFR-2. The overall percentages of the 20 specimens expressing VEGF, VEGFR-2, activated VEGFR-2 were 90, 95, and 95%, respectively. Immunoreactivities of the biomarkers in salivary ACC were higher than those in normal salivary gland. Furthermore, immune-related cells as well as tumor cells expressed
VEGF/VEGFR-2. Microvessel density of salivary ACC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salivary gland (P<0.05). Taken together, angiogenic signaling molecules are actively expressed in salivary ACC. And we suggest that these molecules may have critical role in the hematogenous spread of salivay ACC, which has a propensity for delayed lung metastasis. Therefore, these biomarkers can be molecular targets for therapy of metastasis of salivary
ACC.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악에 발생한 법랑아세포 섬유-치아종의 치험례
- 협부지방에서 성체 줄기세포의 분리와 골모 세포로의 분화
- 경부 및 이하부에 발생한 침습성 지방종의 치험례
- 골격성 하악전돌증 환자의 유전적 경향에 대한 분석
- 개구장애 환자의 병인, 감별진단 및 치료방식에 대한 임상연구
- 토끼 경골에서 치과용 임프란트의 RBM 및 SLA 표면처리에 따른 조직계측학적 연구
- 최근 5년간 구강악안면 낭종 환자에 대한 통계학적 검토
- bFGF, PDGF-BB가 백서 골수기원 간엽 줄기세포의 조직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괴사성 근막염:
- 골격성 III 급 부정 교합자에서 양악 회전 수술 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혈관형성 신호전달 물질의 발현과 미세혈관농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임플란트주위골 흡수 및 상악전치부 치조제 형태와의 관계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 하치조신경 마취시 하악공으로의 접근을 위한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한 방사선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Isolated bilateral temporalis hypertrophy: a rare case report and technical insight into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 Survival outcomes of third molar autotransplantation according to impaction severit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EDITORIAL] Rethinking the specialist system and residency training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rom the crisis over medical school enrollment in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