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악골 신장술에서 압축자극을 통한 골 재생방식에 대한 생체 역학적 평가
이용수 120
- 영문명
- BIOMECHANICAL EVALUATION ON BONE REGENERATION IN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COMBINED WITH COMPRESSION STIMULATION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허준(June Heo) 김욱규(Uk-Kyu Kim) 황대석(Dae-Seok Hwang) 김용덕(Yong-Deok Kim) 신상훈(Sang-Hun Shin) 정인교(In-Kyo Chung) 김철훈(Cheol-Hun Kim) 윤석영(Seok-Young Yun)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33권 제5호, 470~47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biomechanical, and histologic changes in new distraction osteogenesis (DO) technique combined with a compression stimulation in accordance to different compression-distraction force ratio.
23 adult male rabbits underwent open-osteotomy at the mandibular body area and a external distraction device was applied. In the control group of 8 rabbits, only a 8 mm of distraction was performed by conventional DO technique. In an experimental group of 15 rabbits, a distraction followed by a compression forc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atio of compression-distraction suggested by authors. The rate of experimental group I was set up
as a 2 mm compression versus 10 mm distraction and the rate of experimental group II was set up as a 3 mm compression versus 11 mm distraction.
All the rabbits were sacrificed for a gross finding, biomechanical, histomorphometric and histologic findings at the time of 55 days from the operation d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 the gross findings, because all rabbits had a sufficient healing time, every distracted new bone had good bone quality and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ce among all three groups.
2. In the histologic findings, rapid bone maturation (wide lamellar bone formation in the cancellous and cortical bone areas) was observed in two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On the bone density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II showed higher bone density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trol group - 0,2906 g/cm2, experimental group I - 0.2961 g/cm2, experimental group II - 0.3328 g/cm2).
4. On the biomechanical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II had significantly higher bone microhardness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trol group - 252.7 MPa, experimental group I - 263.5 MPa, experimental group II - 426.0 MPa).
5. On the microhardness tests, when we compared the hardness ratio of distracted bone versus normal bone, we could find experimental group II ha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ratio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trol group - 0.47, experimental group I - 0.575, experimental group II - 0.80).
From this study, we could deduce that the modified distraction osteogenesis method with a compression stimulation might improve the quality of bone regeneration and shorten the consolidation perio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distraction osteogenesis techniqu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노 에멀젼이 잇몸 염증의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하악골 신장술에서 압축자극을 통한 골 재생방식에 대한 생체 역학적 평가
- 비중격 성형술을 동반한 비골절 치료의 임상적 고찰
- 상악동 골이식술을 위한 이식재의 부피 측정 - CT를 이용한 환자 대조군 연구
- 인간유두종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구강내 편평상피세포암;
- 제 3 대구치 발치시 환자의 호흡 패턴이 스트레스 변화 양상에 미치는 영향
-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구개부의 상피성-근상피암종
-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에서 자가수혈의 유용성
- 생체흡수성 고정장치를 이용한 상악골 이동술 후 장기간 결과
- Phosphatidic acid에 의한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MAPK와 PKC-δ의 역할
- 가토 두개골 결손부에 이식된 새로운 합성 골이식재의 골치유능력
- 다양한 NSAID가 인간 치주인대세포의 prostaglandin 합성 및 세포 형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가토에서 자가유래 골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술시 비계체로서 Bio-Oss의 효과에 관한 연구
- 반안면 왜소증 환자에서의 골신장술 :
- 편도와 접근을 통한 측방인두간극 이물제거의 치험 증례
- 구강 편평세포암종 세포주에서 Cyclosporin A와 Taxol 투여시 PI-3 kinase/Akt1 Pathway에 의한 세포사멸 병용효과
-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술 후 안면비대칭의 개선에 따른 악관절장애 증상의 변화
- 전이성 선암종을 포함한 경부하마종(Plunging ranula)의 치험례
- 상악동 중격의 발생율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정확도
- 프랙탈 분석을 통한 악골 내 낭종의 감압술 후 골 치유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
- 인체상피세포를 이용한 Vinyl acetate의 발암성 및 작용기전
- 악골에 발생한 법랑아세포종의 임상적 연구
- 이하선부에 발생한 Kimura’s disease에 대한 치험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