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06
- 영문명
- The Effects of Orofacial Exercises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문종훈(Jong Hoon Moon) 원영식(Young Sik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1권 제10호, 995~100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8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간 주 5회, 하루 30분의 보편적인 삼킴장애 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결과측정은 흡인-침습 척도, 후두계곡 잔여물, 조롱박오목 잔여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은 중재 전과 후에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후두계곡 잔여물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두 내 잔여물 감소와 혀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is study participated in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ll subjects allocated that randomized each eight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of both group received to conventional dysphagia therapy during 30 min/day,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IOPI(: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VR(: Vellecula Residue), PSR(: Pyriform Sinuses Residue), MIP(: Maximum Isometric Pressures). In results of study.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scor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PSR and MIP(p<.05).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reduction of residue in pharynx and improvements of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정 무선네트워크 공간 내에서의 무선노드 이동시 데이터 전송률
- 사물인터넷에 아두이노 윤과 클라우드를 이용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 설계
- 노드 간 연관성과 노드 가중치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OLTC를 활용한 도시철도 최대전력 감축에 관한 연구
- ACL이 적용된 라우터 기반의 제한된 병원 의료정보시스템의 구현 사례
-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고효율 E급 전력 증폭기 및 공진 코일 설계에 관한 연구
- 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한 NCS 기반 진료비 관리 및 심사청구 교육프로그램 개발
- 1.8㎓ 대역용 배열 구조 안테나 연구
-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효소 대사물의 분석
- IoT 기반 벼농사 생장 물 관리 시스템 연구
-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BLDC 전동기의 속도제어
-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BEST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지속이용의도 결정요인 탐색
- AI 시대 대학 교양교육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 인공지능의 역사, 분류 그리고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NEW
- 유사도 기반 선별적 데이터 활용을 통한 차량 내 비전 시스템의 실시간 적응형 파인튜닝 기법 연구
- 멀티모달 센서 퓨전 기반의 실내 사용자 행동패턴 추출 방안
- 수학적 과제와 음악 가사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뇌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