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
이용수 2,003
- 영문명
-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Job Alien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김주엽(Kim, Joo-Yup) 이혜진(Lee Hye-Ji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151~1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적자본에 대한 국가와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개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면서, 최근 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은 주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의 유효성과의 직접적 영향관계에 주안점을 두고 있을 뿐,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은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긍정심리자본과 직무 태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14일 동안 국내에 위치한 6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기혼자들에게 설문응답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응답 475부를 얻었으며, 이를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직무소외감과의 직접 효과에 대하여 검증 해 본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직무소외감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조직구성원의 정서의 관계를 검증 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긍정적 정서의 정(+)의 영향을, 부정적 정서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정서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직무소외감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정서는 직무 소외감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는 부족했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 유효성 사이의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긍정심리자본이 개인의 정서를 통해 더욱 큰 영향력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n organizational member in his/her performance has received serious attention from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he previous research has, however, focused mainly on the direct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not paying enough attention on the factors mediating and/or moderating in their relationship.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xplore the factors performing those role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find out the role an individual s affec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and alienation, sugges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use personal positive affect. For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600 married persons in six domestic companies by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477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related positively to job satisfaction and negatively to job alienation. It also shows that affec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alienation.
The results above present that an individual s affect plays a key role in realizing the potential powe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attitudes, and is expected to increase job performance.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 불황에서 텍사스 병원의 고정 자산 투자 변화
-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
- 미국 금 선물가격 변화가 한국 금 관련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대학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구매성향이 고객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업사원의 능력과 제품 속성의 조절효과
- 원주와 DR의 가격괴리에 관한 실증연구
- 한중기업성장사례연구(롄샹과삼성전자사례)
- 협업과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역할스트레스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 상대적 박탈감,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그리고 직무태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목적 실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