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대적 박탈감,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그리고 직무태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이용수 737
- 영문명
- Relative Deprivation, LMX and Job Attitud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전무경(Jeon, Moo-Kyeong) 이인석(Lee, In-Suk) 장석원(Chang, Seok-W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상대적 박탈감(RD)이 상사․부하간 교환관계(LMX)와 직무태도-즉, 직무스트레스 (JS)와 직무만족(JS) 사이에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한다. 더불어 자기효능감(SE)이 상사․부하간 교환관계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한 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첫째, LMX와 RD는 부(-)의 관계를 갖는다. 둘째, RD와 JS는 정(+)의 관계를 갖는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반면, 직무스트레 스는 낮은 조절효과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LMX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의 관계를 갖지만, 직무 만족과는 정(+)의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LMX는 상대적 박탈감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상호존중과 자기개선 및 건설적 변화를 통해 상사․부 하간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대적 박탈감과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높은 자기 효능감을 통한 직무만족의 극대화가 요구된다. 셋째, 상사․부하간 관계의 향상을 통해 상대적 박탈감을 줄이면 조직내 양극화 현상이 극복될 것이다. 본 논문의 한계점으로 모집단의 일반화와 변수들 간 역관계 등이 있다
영문 초록
We examine in this study how relative deprivation (RD) relate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job attitud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 also investigate whether higher self-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among LMX,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ur findings are empirically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relative deprivation. Second, RD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tress. Third, higher self-efficacy has higher moderating effects on job satisfaction. Finally, LMX is negatively related to job stress and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se practically represent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s LMX plays a vital role on RD as well as job attitude, both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ne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forward on the basis of respect each other. Second, to minimize RD and job stress, it requests to maximize job satisfaction by optimizing higher self-efficacy. Lastly, while RD dissolves by improving LMX, it believes the polarization of intra-organizational relationships can be overcome. Given that empirical evidence on this issue is very limited our findings in terms of the external validity by sample bias and revers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목차
I. Introduction
II. Theory and hypotheses
III. Method
IV. Results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 불황에서 텍사스 병원의 고정 자산 투자 변화
-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
- 미국 금 선물가격 변화가 한국 금 관련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대학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구매성향이 고객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업사원의 능력과 제품 속성의 조절효과
- 원주와 DR의 가격괴리에 관한 실증연구
- 한중기업성장사례연구(롄샹과삼성전자사례)
- 협업과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역할스트레스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 상대적 박탈감,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그리고 직무태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목적 실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