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기 전이 부부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46
- 영문명
-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couples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주수산나(Joo, Susanna) 전혜정(Jun, Hey Jung)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8집 3호, 60~87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을 통해 부모기 전이를 경험한 부부인 남편과 아내 각각의 부부갈등이 부모기 전이 1년 동안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08년-2009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08년에 첫 자녀 출산을 통해 부모기 전이를 경험한 602쌍의 부부(남편 602명, 아내 602명)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종속변수는 2차년도의 결혼만족도이며, 독립변수는 1차년도에 조사된 부부갈등이다. 또한 부모기 전이 1년 동안 발생한 결혼만족도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시차내생변수로서 1차년도에 측정된 결혼만족도를 모형에 투입하여 통제하였다. 부부인 남편과 아내 각각의 종속변수인 결혼만족도에 대한 오차항의 상호상관을 고려하기 위해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내가 보고한 부부갈등과 남편이 보고한 부부갈등은 아내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내가 보고한 부부갈등과 남편이 보고한 부부갈등은 남편의 결혼만족도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부갈등을 다루는 부부의 상호작용방식에 대한 개입을 통해 부모기 전이기에 아내와 남편의 결혼만족도 하락을 직간접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first (in 2008) and the second(in 2009)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ata were used. Sample was 602 married couples who delivered the first child in 2008. Dependent variable was marital satisfaction in 2009.
Independent variable was marital conflict in 2008.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in 2008 was included in the model as a lagged variabl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was analyzed for considering interdependency between husbands and wives within couples. Results showed that marital conflict reported by wives and husbands had effects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wives.
However, those did not have effects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husbands.
It implies that intervention programs about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may directly/indirectly help married couples in transition to parenthood to enhance their marital qual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