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이용수 392
- 영문명
- Awareness of Parents on Leisur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양소현(Yang, So Hyun) 이미숙(Lee, Misu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1권 제2호, 161~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중․고등학교 특수학 교와 특수학급의 발달장애학생 학부모 10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청소년은 ‘취미․교양’의 경우 TV보기, ‘오락․사교’의 경우 스마트폰 조작, ‘감상․관람’의 경우 영화관, ‘건강․스포츠’에서는 조깅․산책을 주된 여가활동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가정에서 가족과 함께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학부모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 시간을 놀거나 즐기는 시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가 참여하길 기대하는 여가활동으로 ‘취미․교양’의 경우 음식 만들기, ‘오락․사교’의 경우 친구와 대화하기, ‘감상․관람’의 경우 영화관, ‘건강․스포츠’에서는 조깅․산책을 언급하였다.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독립적인 이동 불가능, 여가활동을 함께할 사람의 부재를 들었으며, 자녀의 여가활동을 개선할 방안으로는 학교 차원의 다양한 여가프로그램 확충과 지역사회 차원의 분위기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of parents on leisure of adolescen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tal 106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frequent leisure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were ‘watching TV’ in hobby․refinement area.
There were ‘using smartphone’ in recreation․socializing area, ‘going to the movie theater’ in appreciation․seeing area, and ‘jogging and taking a walk’ in health․sports area. Mos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joyed their leisure activities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their houses. Whereas, they wanted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were ‘preparing food’ in hobby․ refinement area, ‘conversation with friends’ in recreation․socializing area, ‘going to the movie theater’ in appreciation․seeing area, and ‘jogging and taking a walk’. Parents thought that the general meaning of leisure is that the time of playing or having fun. In addition, the biggest personal challenge that disturb leisure of their children was ‘the impossibility of independent traveling of their children’ and the biggest environmental challenge was ‘absence of persons who can support their children’s leisure activities’. The developments for the leisure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ddressed as ‘expanding the leisure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hools’, ‘improving the atmosphere of sharing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a lot of parents didn’t know about the presence of curriculum on leisure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y fe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on leisure to make them to live meaningful postsecondary lives. Finally, with these results, school-wide leisur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d the atmospher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eeded to be foste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AHP) 기법을 활용한 발달장애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상대적 중요도 분석
- ARCS 동기모델 적용 수업이 초등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장애대학생의 경험 이야기를 통해 본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비디오 또래모델링이 지적장애학생의 밥짓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 농인을 한 한국어기사 제안 —한국어 기 문법을 심으로—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및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학생이 중심이 되는 IEP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실태
- 초등통합학급에서의 역할 수행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 인권교육 및 인권침해 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 중등 통합학급의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평가지표 개발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쓰기 특성
- 장애인 야학 교사의 교육정향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