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ucharist is Giving
이용수 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민중신학회
- 저자명
- TaeSik Park
- 간행물 정보
-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제25권,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l Roman Catholic churches including Anglican Church practice Eucharist in the same way. On the evening before his death on the cross, Jesus shared wine and bread with his disciples. To date, ‘Last Supper’ is the mostly researched theme in Systematic Theology. But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reconstruct historical ‘Last Supper of Jesus’ not through the systematical approach, but through biblical approach.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reconstruct an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Last Supper of Jesus’, because the ‘Last Supper of Jesus’ is the foundation of the 1st century Christian church’s Eucharist (as the sacrament). The history of the Church has been for 2000 years. During this time, there were many values that appeared and then disappeared, changing the tendencies of the Church in the various ways. What are, then, the permanent values that remained intact in these 2000 years of history of the church? One of them is surely the worship done every Sunday,
especially the Eucharist.2) Although our subject is known by a variety of meanings in the different branches of theology, it is certain that, through the Eucharist, the communication with God is finally possible. Moreover, it takes the roll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every christia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작은 교회 연합 기독교교육 사례 연구
- 한국 장로교(예장통합) 가정예배의 교육학적 이해와 대안적인 교육목회적 실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기독교 동아리 운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