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향영향력과 성과간 관계에서 발언행동의 조절역할
이용수 328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Voice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Influence and Performance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양은주(Eun-ju Yang) 김정훈(Ju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7권 제3호, 129~1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첫째, 조직 내 중간관리자의 직속상사에 대한 상향영향력이 부하의 성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하의 성과로는 상사에 대한 평가인 상사신뢰와 팀에 대한 평가인 정서적 팀 몰입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중간관리자들이 어떠한 발언행동 전략을 사용할 때 부하의 성과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관련된 각종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문항을 활용하여, 팀제를 도입하여 운영되는 국내 공공 및 사기업 부서(팀)당 각 부하 2명씩을 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16개 부서(팀) 설문지 272쌍(55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하가 지각하는 중간관리자의 직속상사에 대한 상향영향력은 부하의 성과인 상사신뢰와 정서적 팀 몰입 모두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둘째, 상향영향력과 상사신뢰, 정서적 팀 몰입 간 관계에서 발언행동의 조절효과는 건설적 발언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기여,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the moderating effects of voice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influence and performance.
Survey was conducted with all teams composed of every 2 employees pair from 350 departments(teams) of domestic government employees' organization, public institutions, and other private enterprise employees which are operated introducing team systems. Among 316 departments(teams) questionnaires collected, untrustworthy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finally, data of 272 pairs(554 people) was employed.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evaluated and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
Finding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ward influence of middle managers on their immediate supervisors as junior staff perceive had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both leader trust and affectional team commitment which are junior staff's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voice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in only ‘constructive voice’ in relation to relationships not only between upward influence and leader trust, but also between upward influence and affectional team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결과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