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pporting Policy Scheme for the Youth’s Entrance to Farming in Japanese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김종인(Jong In Kim) 김정섭(Jeong Seop Kim)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23권 2호, 115~12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20 years, Japanese government have been pushed forward supporting policy measures for youths who wanted to start farming. These measures made up a systematized scheme and brought out some effects. In this paper, those scheme are introduced and analyzed. Those are composed of several measeurs as following: vocational edcucation and training, internship program, direct payment for livelihood, and governmental subsidies for investment. Japanese scheme can be evaluated as a good policy in the view of Korean situation. There is no systematic policy program for youth’s entrance to farming in Korea.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일본의 신규 취농 지원정책
3. 정책의 성과와 한계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inkage of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in Paraguay - Interview to Key Actors -
- 국산 참다래 골드 신품종 도입농가의 경영성과 및 경영효율성 분석
- Development of Agricultural Cooperative in Cambodia - Lessons from South Korea -
- Can Informal Traditional Institutions Mediate Risk Preferences among Smallholder Farmers? - Evidence from Rural Ethiopia -
-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평택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
-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 선형계획법에 의한 복합영농의 최적화 방안 - 충남 서산시 A농가를 대상으로 -
- 소비자 특성이 커피와 차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소비자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농촌지도와 개발 32권 3호 목차
- 농촌민박 방문객의 세대별 중요도-만족도 차이 분석 - R-IPA를 중심으로
- 치유농업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STAI 응답척도 재척도화의 타당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